[신종플루 확산 비상] 신종플루 가정서도 몸살

[신종플루 확산 비상] 신종플루 가정서도 몸살

입력 2009-09-16 00:00
업데이트 2009-09-16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람 많은 곳 가지마라” “아이참, 우린 괜찮아요”

두 살난 아이를 시댁에 맡기고 맞벌이를 나가던 주부 가지은(34·여)씨는 며칠 전 베이비시터를 구했다.

이미지 확대
신종플루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어머니가 아이를 데리고 노인정을 자주 찾는다는 사실을 알게 됐기 때문이다. 외출 자제를 당부하자 시어머니는 “집에서 애만 볼 수 없고 나도 애가 옮기라도 할까봐 부담스럽다.”면서 파업을 선언했다. 가씨는 “아이의 건강이 최우선 아니냐.”면서 “면역력이 약한 노인이시라 본인의 건강을 걱정하는 마음도 있었는데….”라며 말을 흐렸다.

신종플루가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자식들의 건강을 염려하는 부모들과 지나친 간섭에 반항하는 자식들의 마찰이 곳곳에서 빚어지고 있다. 시댁이나 친정에 아이를 맡기는 젊은 부모들은 부모 세대의 무지함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고, 반면 노인층은 본인들의 건강을 챙기기도 바쁘다며 하소연하고 있다.

15일 대형포털 게시판 등에는 ‘엄마가 콘서트를 못가게 한다.’ ‘학교와 학원 이외에는 다 외출금지다.’는 등의 학생들의 게시글이 무더기로 올라오고 있다. 이들은 좋아하는 가수의 콘서트, 팬사인회, 영화관 등을 막무가내로 막고 있다며 불만이다. 특히 이들 중 일부는 ‘그까짓 신종플루 걸려도 어차피 우리는 안 죽는다.’는 식의 과격한 언사를 일삼기도 한다. 부모들 역시 불만은 마찬가지다. 중학생 3학년 자녀를 둔 주부 최지수(41·여)씨는 “학부모들이 모이면 다들 걱정이 태산이다.”면서 “나갔다 들어오면 손을 씻으라고 한마디만 하면 잔소리라는 이유로 저녁 내내 싸울 정도로 갈등이 심각하다.”고 말했다.

각종 해외 교포사이트에도 한국식 사고를 가진 이민 1세대나 1.5세대가 미국적 사고를 가진 2~3세대와 겪는 신종플루 관련 고민들이 줄을 잇고 있다. 자식세대는 수백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한 미국이나 캐나다에서도 한국처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며 ‘유별난 한국’이라는 취지의 비난도 서슴지 않고 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09-09-16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