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쪽은 안 써서 아프고 한쪽은 너무 써서 아프다

한쪽은 안 써서 아프고 한쪽은 너무 써서 아프다

입력 2009-08-09 00:00
업데이트 2009-08-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나경 한복장(56세)은 열세 살 때 설을 사흘 앞두고 방앗간에 갔다가 기계에 손이 빨려 들어갔다. 피투성이가 돼서 실려 간 병원에서 그의 팔을 자른 의사는 다름 아닌 그의 아버지였다. 그 뒤로 아버지는 죽을 때까지 단 한 번도 그 사고를 입에 올리지 않았다. 가족들도 10년 동안 아무도 떡을 먹고 싶다는 말을 꺼내지 않았다. 지난 2008년은 그녀가 한복을 만든 지 꼭 30년이 되는 해였다. 왼손으로만 30년이란 세월을 바느질해온 것이다.

이미지 확대
마산에서 나고 자란 그녀는 어렸을 때부터 서양화를 배웠고 미대에 진학했다. 회화, 조소 등 장르가 한정돼 있었던 당시에도 그녀는 그림도 그리고 한복도 만들었다. 그러다 극작가 오태석의 눈에 띄어 1978년 세종문화회관 개관 기념 공연작인 태의 의상을 맡았다. 그 작품에서 한지로 된 의상을 소개하면서 본격적으로 한복장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궁금한 게 있으면 끝장을 보는 성격”인 그녀는 한때 천연염색에 빠져 “해가 지는지 밤이 가는지 모르고 해재끼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그녀는 한복을 짓는다고 하지 않고 “그린다”고 한다. 원단부터 염색, 재단까지 그녀의 손을 거치지 않는 과정이 없다. 그녀는 “한 벌, 한 벌 짤 때마다 나만이 할 수 있는 것”을 찾는다. 한복은 그녀의 분신이다.

그녀는 한손으로 바늘귀에 실을 끼우고 바느질을 한다. 가만히 두면 몸의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에 천을 왼쪽 어깨에 걸어 한 뼘 정도 남은 오른쪽 팔을 고정시킨다. 그래서 “한쪽은 너무 안 써서 아프고, 한쪽은 너무 써서 아프다.” 하지만 “정말 열심히 살았다”고 당당하게 말한다. 단 한 번도 어디까지만 하겠다는 목표를 정한 적도 없고, 남들 한 개 만들 때 “더 좋은 게 나올까 싶어” 열 개를 만들었다. 그녀는 한복을 짓는다고 하지 않고 “그린다”고 한다. 원단부터 염색, 재단까지 그녀의 손을 거치지 않는 과정이 없다. 그녀는 “한 벌, 한 벌 짤 때마다 나만이 할 수 있는 것”을 찾는다. 한복은 그녀의 분신이다.

그녀는 한손으로 바늘귀에 실을 끼우고 바느질을 한다. 가만히 두면 몸의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에 천을 왼쪽 어깨에 걸어 한 뼘 정도 남은 오른쪽 팔을 고정시킨다. 그래서 “한쪽은 너무 안 써서 아프고, 한쪽은 너무 써서 아프다.” 하지만 “정말 열심히 살았다”고 당당하게 말한다. 단 한 번도 어디까지만 하겠다는 목표를 정한 적도 없고, 남들 한 개 만들 때 “더 좋은 게 나올까 싶어” 열 개를 만들었다. 한쪽 팔은 잃었지만 묵묵히 두 배의 인생을 살고 있는 것이다.한쪽 팔은 잃었지만 묵묵히 두 배의 인생을 살고 있는 것이다.

사진 한영희 | 글 표세현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