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양만세운동 기록 90년만에 ‘햇빛’

언양만세운동 기록 90년만에 ‘햇빛’

입력 2009-07-22 00:00
업데이트 2009-07-22 01: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제 작성 ‘범죄인 명부’ 찾아… 5명 정부포상 신청

울산 언양만세운동 참가자 5명의 활동기록이 90년 만에 빛을 보았다.

21일 병영3·1운동유족회(회장 이춘걸)에 따르면 1919년 이후 90년 간 잠자던 울산 울주군 상북면지역에서 언양만세운동에 참가한 5명의 ‘범죄인 명부’를 최근 상북면사무소에서 찾았다. 3·1운동유족회는 일제가 작성한 이 범죄인 명부를 바탕으로 서류를 꾸며 국가보훈처에 정부포상을 신청했다.

포상신청이 이뤄진 상북면 출신 유공자는 김경수(당시 나이 28·명촌리), 김정욱(36·명촌리), 정태원(46·지내리), 정용득(35·등억리) 등 4명이다. 김종백(29·양등리)의 서류는 아직 갖춰지지 않았다.

범죄인 명부에 따르면 이들은 1919년 4월2일 언양장날을 기해 독립만세운동을 벌이다 일경에 붙잡혀 1심에서 모두 태형과 곤장 90대 등을 선고받았다.

독립유공자로서 정부포상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독립운동을 한 죄로 일제의 재판을 받은 기록이 있어야 하는데, 1심에서 종료된 이들 5명의 사건은 해방과 함께 재판서류가 모두 불타 버렸다. 때문에 이들은 그동안 관련 기록이 없어 정부포상을 신청하지 못했다.

그러던 중 지난 3월 이춘걸 회장이 3·1절 행사에서 강길부 국회의원을 만나 도움을 요청했고, 이에 강 의원이 적극 나서서 상북면사무소에서 잠자던 범죄인 명부를 찾아 냈다. 이 범죄인 명부는 재판기록을 대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됐다. 이 회장은 “조국 광복을 위해 희생하신 향리 어른들의 거룩한 뜻과 명예가 90년 간 묻혀 있었다는 것은 후손으로서 부끄러운 일”이라면서 “늦게나마 활동기록을 찾을 수 있게 돼 다행”이라고 말했다.

언양독립만세운동에 참여했다가 옥고를 치른 상북면 출신의 유공자는 이들 5명을 포함해 모두 13명이다. 다른 유공자들은 모두 1995년 이전에 포상을 받았다.

울산 박정훈기자 jhp@seoul.co.kr
2009-07-22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