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름끼치는 공포, 입체로 느껴볼까

소름끼치는 공포, 입체로 느껴볼까

입력 2009-07-14 00:00
업데이트 2009-07-14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D 영화 ‘블러디 발렌타인’ 23일 개봉

23일 개봉하는 ‘블러디 발렌타인’은 1981년산 슬래셔 호러물 ‘피의 발렌타인’(감독 조지 미할카)의 리메이크 영화다. 전체 3D로 만들어진 까닭에 눈앞으로 날아드는 살인마의 곡괭이, 뚝뚝 떨어져 나오는 살점 등 더욱 생생하게 소름 끼치는 공포를 만끽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3D 호러영화 ‘블러디 발렌타인’에서 사라가 살인마에게 다급하게 쫓기고 있다.
3D 호러영화 ‘블러디 발렌타인’에서 사라가 살인마에게 다급하게 쫓기고 있다.
이야기는 광산주의 아들인 톰(젠슨 애클스)의 실수로 탄광이 무너지면서 시작된다. 이때 해리 워든을 포함해 6명의 광부가 터널에 갇히는데, 여기서 워든은 산소를 아끼기 위해 동료 5명을 살해한다. 의식불명 상태에서 발견된 그는 1년 뒤 깨어나지만, 다시 22명을 처참하게 죽인 뒤 자취를 감춘다.

이 현장을 목격한 톰은 충격에 홀연히 마을을 떠난다. 10년이 지나 돌아온 톰. 하지만 그를 반기는 이는 아무도 없다. 옛 여자친구였던 사라(제이미 킹)마저 보안관인 친구 엑셀(커 스미스)의 아내가 됐다. 공교롭게도 그 즈음, 마을에는 10년 전 악몽이 되풀이된다. 끔찍한 살인마가 또다시 사람을 무참히 해치고 다니는 것. 마을에는 해리 워든이 부활했다는 소문이 떠돌지만, 엑셀과 톰은 서로를 용의자로 지목한다.

이 영화에서 긴장감을 일으키는 요소는 3가지다. 첫번째는 과연 해리 워든이 되돌아왔는가다. 광부 마스크에 곡괭이를 든 모습은 탄광마을에서는 흔하디흔한 모습. 익명성 아래 감춰진 범죄자란 설정이 오싹함을 안겨준다. 두번째는 엑셀과 톰 중 누가 진짜 용의자인가다. 관객들은 두 사람의 불안정한 모습에 쉽게 어느 한쪽을 편들기 어렵다. 예측은 가능하되, 극이 전개되면서 뒤집히길 반복한다. 세번째는 사라의 감정이 엑셀과 톰 가운데 누구에게로 향하느냐다. 사라는 말없이 사라졌다 돌아온 톰에게 원망과 애틋함을 함께 품는다. 가까스로 평정을 유지하던 그녀의 마음은 엑셀의 불륜을 알게 된 뒤 흔들리고 만다.

연출을 맡은 패트릭 루지어 감독은 호러영화의 고전을 30년만에 재탄생시키면서 입체영화라는 장점을 기막히게 효과적으로 살렸다. TV시리즈 ‘슈퍼내추럴’로 잘 알려진 젠슨 애클스, ‘도슨의 청춘일기’, ‘CSI’로 국내 관객에도 익숙한 커 스미스의 등장이 더욱 시선을 잡아끈다. 청소년 관람불가.

강아연기자 arete@seoul.co.kr
2009-07-14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