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0항쟁 과정 생생히 담아 만화가 최규석 ‘100℃’ 펴내

6·10항쟁 과정 생생히 담아 만화가 최규석 ‘100℃’ 펴내

입력 2009-06-15 00:00
업데이트 2009-06-15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87년 1월 박종철이 물고문으로 숨지자, 건국대 사태로 옥살이를 하고 있던 대학생 영호는 정말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것인지, 그 끝이 있는 것인지 괴로워한다. 한 양심수가 벽을 사이에 두고 말을 건넨다. “물은 100도씨가 되면 끓는다네. 그래서 온도계를 넣어보면 불을 얼마나 더 때야 할지, 언제쯤 끓을지 알 수가 있지. 하지만 사람의 온도는 잴 수가 없어. 지금이 몇도인지, 얼마나 더 불을 때야 하는지. 그래서 불을 때다가 지레 겁을 먹기도 하고 원래 안 끓는 거야 하며 포기를 하지. 하지만 사람도 100도씨가 되면 분명히 끓어. 그것은 역사가 증명하고 있네. 나라고 왜 흔들리지 않았겠나. 다만 그럴 때마다 지금이 99도다…그렇게 믿어야지. 99도에서 그만두면 너무 아깝잖아. 허허허.”

이미지 확대
22년이 지난 2009년 6월, 우리는 섭씨 몇도일까? 국내 리얼리즘 만화의 계보를 잇는 최규석(32) 작가가 창비를 통해 ‘100℃’를 펴냈다. 1987년 민주항쟁 과정을 생생하게 담아낸 작품으로 지난해 6월민주항쟁계승사업회 홈페이지에 게재되고, CD 형태로 전국 중·고등학교에 배포됐던 것을 단행본으로 묶은 것이다. 반공소년이었던 영호가 대학생이 되며 이제까지 몰랐던 세상에 눈을 뜨고, 그 과정에서 함께하는 영호의 어머니, 아버지, 형, 누나의 이야기를 박종철·이한열 열사, 그리고 6월 항쟁과 씨줄날줄로 엮어낸 팩션 드라마다. 주인공들이 정치적이고 사변적인 캐릭터가 아니라 우리와 크게 다를 것 없는 평범한 인물들이라 교감의 폭은 더욱 크다. 1987년 당시 10살 초등학생으로 그때 기억이 많이 남아 있지 않다는 최 작가. 그는 이 작품을 그리기 위해 역사책과 수기집을 통독했고, 영상물을 섭렵했다. 각종 인터뷰를 통한 증언 청취도 빼놓지 않았다.

최 작가에게 전화를 걸자, 대뜸 본격 민주주의 학습만화라는 부제를 단 부록 ‘그래서 어쩌자고?’가 어땠는지 먼저 묻는다. 시민교육센터 이한 강사의 ‘청소년을 위한 민주주의 강안 교안’을 각색한 부록을 놓고 그는 “청소년들이 민주주의에 대한 몇 가지 관점만 건져도 좋겠다.”고 말했다. ‘100℃’를 통해 궁극적으로 “민주주의는 계속 신경쓰지 않으면 쉽게 변해버리는 연약한 것”이라고 말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는 책에 실린 작가의 말을 빌려 “(민주주의가) 아무것도 아닌 것 같지만 이 아무것도 아닌 걸 위해 수많은 사람들-역사 교과서에 등장하는 대단한 사람이 아니라 지금의 우리처럼 터무니없이 약하고 겁 많고 평범한 사람들-이 피와 땀을 흘렸고 제 삶의 기회를 포기했다는 것을 말해주고 싶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의 전작인 ‘공룡 둘리에 대한 슬픈 오마주’, ‘습지생태보고서’, ‘대한민국 원주민’ 등에도 우리 사회의 현실이 진하게 배어 있다. 자유주의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성격이었다는 최 작가는 만화를 그리며 사람을 관찰하고, 캐릭터의 성격을 표현하려다 보니, 정치 사회적인 영향을 빼놓고는 설명할 수 없었고, 그래서 사회에 대한 관심이 점점 넓어졌다고 설명했다.

대개 일관된 그림체를 유지하는 게 보통인데 그의 작품은 성격에 따라 극화체와 명랑체를 오간다. “하고 싶은 작품의 스펙트럼이 넓기 때문”이라고 웃는 그는 슈퍼히어로들이 사회 기득권층으로 편입돼 일어나는 이야기를 다루는 작품과 노동운동에 관한 이야기를 재미있고, 스펙터클하게 그리는 작품을 준비하고 있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09-06-15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