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금연 경고 그림/김성호 논설위원

[씨줄날줄] 금연 경고 그림/김성호 논설위원

입력 2009-06-01 00:00
업데이트 2009-06-01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담배 있나.” “없습니다. 가서 가져올까요?” “됐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죽음을 앞둔 절박한 상황서 남긴 대화. 왜 하필 담배를 마지막으로 요구했을까. 생사의 갈림길에서 떠올린 담배는 무엇인가. 일반인이 노 전 대통령의 극적인 죽음과 연결한 담배 인상보다 흡연자들이 떠올린 담배 단상은 더 깊었을 듯싶다.

담배의 유래를 놓곤 많은 의견이 엇갈린다.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종교의식이나 병 치료에 썼던 재료가 그 시초라는 데 사가들은 대체로 동의한다.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발견을 계기로 유럽에 들어왔던 담배. ‘만병통치약’이란 소문과 함께 상류층 중심으로 퍼졌고 이 땅엔 임진왜란기 일본을 통해서 유입됐음이 정설로 통한다. 우리도 양반계급부터 확산됐다고 하니 담배의 역사는 아무래도 특권층과 관련이 깊은가 보다.

이젠 신분과 나이, 성별을 가리지 않은 채 많은 이들에게 통용되는 담배. 흡연자들은 흔히 담배를 즐겨 찾는 이유로 세 가지의 맛(三味)을 꼽는다. 냄새와 손끝의 촉감, 그리고 연기. 아침에 일어나 잠자리에 들 때까지 세수하고 밥 때까지도 담뱃불을 꺼뜨리지 않았다는 공초, 아니 ‘꽁초’ 오상순도 이 삼미의 삼매에 빠져 살았던 인물이다.

삼미의 예찬에도 불구하고 담배는 이젠 보편적으로 멸시와 혐오의 대상이 되었다. 코미디언 고(故) 이주일씨의 “담배는 독입니다.”라는 금연 캠페인 말고도 비행기며 대중음식점, 버스 정류장 같은 공공장소에서 담배는 이미 ‘공공의 적’이 된 지 오래다. 담배가 내뿜는 유독성에 대한 집단 반발이다. 정작 담배를 좋아하는 흡·애연가들도 유독성에 대한 꺼림은 있을 터. 그래도 한쪽에서 ‘흡연할 권리’를 여전히 줄기차게 주장한다.

흡연자들을 향한 압박이 더 거세질 조짐이다. 정부가 담뱃갑에 섬뜩한 폐암이며 구강암 사진을 싣는다고 한다. 담배 광고와 판촉·후원도 전면 금지될 전망이다. 흡연자들은 벌써부터 뒤숭숭하다. 지난해 섬뜩한 TV광고에 적지 않이 타격받은 터이다. 하지만 아무리 섬뜩한 경고 그림이라 한들 마음자리에 견줄까. 수처작주(隨處作主)라고 했다. ‘언제 어디에 서 있건 휘둘리지 말고 마음의 주인공으로 살라.’ 내 마음자리부터 먼저 닦는 게 어떨까.

김성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2009-06-01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