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살아남은 자의 슬픔/김동률 KDI 언론학 연구위원

[열린세상] 살아남은 자의 슬픔/김동률 KDI 언론학 연구위원

입력 2009-05-30 00:00
업데이트 2009-05-30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동률 한국개발연구원 언론학 연구위원
김동률 한국개발연구원 언론학 연구위원
1980년대 후반 이땅에 민주화란 말이 낯설었던 시절, 나는 신촌의 한 여자대학 강당에서 열린 결혼식에 참가했다. 거리에는 최루탄 냄새가 매캐하고 그로 인해 강요된 눈물이 멈추지 않던 시절이었다. 그날 결혼식의 가장 큰 이변은 축가였다.

초대된 소프라노는 칼날 같은 목소리로 ‘거센 바람이 불어와서 어머님의 눈물이’로 시작되는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를 불렀고 ‘창살 앞에 네가 묶일 때 살아서 만나리라’로 끝나는 대목에서 많은 하객들은 눈물을 훔치기 시작했다. 그때는 정말 그랬다. 용기가 없거나 모질지 못한 사람들은 보다 우회적인 방법으로 민주주의에 대한 그들만의 타는 목마름을 표현해 냈고 그것은 점차 하나의 거대한 물결로 한국 사회를 휩쓸었다.

1987년 오뉴월은 뜨거웠다. 그해 오월, 민주항쟁의 폭발을 예고하는 사건들이 잇달아 터져 나왔다. 박종철군 고문치사 사건의 진범이 따로 있다는 엄청난 폭로가 나왔다. 5월 말에는 종교계·재야단체 등 2000여명이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란 긴 이름의 재야단체를 조직하고 민주항쟁을 선언했다. 집행위원장 노무현이라는 이름도 발견된다. 6월10일, 넥타이 부대까지 합세한 국민항쟁이 마침내 폭발했다. 잠실체육관에서 여당 대통령후보 지명대회가 열린 그 날, 전국에서 40만명의 시민들이 거리로 뛰쳐 나왔다. 거대한 시위 물결은 결국 집권여당의 ‘6·29선언’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정부 수립 이후 30년간에 걸친 권위주의 체제를 마감하고 우리 역사에서 민주화의 전환을 가능하게 만들었던 1987년의 6월 민주항쟁은 이렇게 이뤄졌다.

그로부터 22년, 특별히 잔인하고도 슬픈 6월이 오고 있다. 거칠고 폭압적인 과거의 독재에 비한다면 지금 우리가 향유하고 있는 민주주의는 우리로 하여금 엄청난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 독재 경험과 민주화의 험난한 장정을 겪지 못한 세대들에게 지금의 민주주의는 태어날 때부터 이미 주어진 것으로 특별한 감흥을 주지 못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독재의 폭압을 딛고 6월항쟁의 경험을 겪은 기성세대는 그 쟁취의 경험과 의미를 결코 잊지 못한다.

4·19가 나던 해 세밑/우리는 오후 다섯 시에 만나…/불도 없이 차가운 방에 앉아/하얀 입김 뿜으며/열띤 토론을 벌였다/어리석게도 우리는/무엇인가를 위해서/ 살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로부터 18년 오랜만에/우리는 모두 오랜만에 무엇인가 되어…넥타이를 매고 다시 모였다/…치솟는 물가를 걱정하며/즐겁게 세상을 개탄하고/익숙하게 목소리를 낮추어/떠도는 이야기를 주고 받았다/모두가 살기 위해 살고 있었다/아무도 이젠 노래를 부르지 않았다/부끄럽지 않은가/부끄럽지 않은가/바람의 속삭임 귓전으로 흘리며/우리는 짐짓 중년기의 건강을 이야기했고/또 한 발짝 깊숙이 늪으로 발을 옮겼다(김광규, 희미한 옛 사랑의 그림자)

노무현 전 대통령을 떠나보내는 오늘, ‘부끄러워하라’는 구절이 새삼스럽다. 모든 것을 안고 이제 그는 갔다. 고요한 새벽길을 혼자서 차마 떨치고 갔다. 황금같이 굳고 빛나던 옛 맹세는 한 줌 재가 되어 봄바람에 날아갔다. 만날 때 떠날 것을 염려하는 것과 같이, 떠나보내는 지금 다시 만날 것을 믿는다. 그는 갔지만 우리는 그를 보내지 않았다. 그러나 그와 함께했던 뜨거운 환희와 감동은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다. 타는 목마름으로 함께 이룬 민주화의 감격은 서서히 빛바래지고 역사와 맞섰던 그는 스스로 역사가 되고 있다.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한평생 나가자던 그날의 뜨겁던 노래도 끊긴 지 오래다. 이 땅에 이제 한 시대가 저물고 있다. 대통령이기보다는 땀내 나는, 가까운 이웃 같았던 사람이 있었다. 가슴 벅찬 민주주의와 삶의 의미를 우리에게 곱씹게 해 준 사람이 있었다. 하지만 그는 가서 이제 전설이 되고, 우리는 살아남았다.

김동률 KDI 언론학 연구위원
2009-05-30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