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어두운 면’ 영화 보러 오세요

‘미국의 어두운 면’ 영화 보러 오세요

입력 2009-05-20 00:00
업데이트 2009-05-20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네큐브 ‘노인을’ 등 5편 상영

할리우드 영화 하면 상업성과 오락성으로 무장한 작품들을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기획전 ‘미국 5부작:다크 사이드 오브 아메리카’에서 소개되는 영화 5편은 대중성보다는 미국 사회의 어두운 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들을 21∼27일 서울 씨네큐브 광화문에서 만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코언 형제의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2007년)는 돈에 대한 탐욕과 잔인한 폭력성을 담은 영화다. 황량한 서부에서 쫓는 자와 쫓기는 자 사이에 펼쳐지는 서스펜스가 극도의 긴장감을 자아낸다.

조지 클루니가 각본, 연기, 연출을 맡은 ‘굿나잇 앤드 굿럭’(2005년)은 1950년대 초반 미국의 매카시즘에 맞선 언론의 양심을 그린 정치드라마다. 공산주의에 대한 맹목적 공포가 뒤덮인 시대에 용기있게 진실의 힘을 지켜내는 스토리가 감동적으로 다가온다.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의 ‘폭력의 역사’(2005년)는 폭력의 역사와 근원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선과 악을 동시에 보여주는 주연 비고 모텐슨의 연기가 소름끼칠 정도로 뛰어나다. 폭력을 기반으로 한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시 폭력을 선택하는 주인공의 궤적이 미국역사의 음울한 단면을 은유한다.

배우 데니스 호퍼가 메가폰을 잡은 ‘이지 라이더’(1969년)는 1960년대 미국 청년 문화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자유로운 히피 문화와 편견·보수주의로 억압된 문화의 대비를 통해 미국의 실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지난 14일 개봉한 시드니 루멧 감독의 ‘악마가 너의 죽음을 알기 전에’(2007년)도 앞선 네 작품과 연계해서 생각해 볼 만하다. 자본주의가 초래한 중산층의 붕괴에서 현재 미국사회의 치부를 알 수 있다.

강아연기자 arete@seoul.co.kr
2009-05-20 2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