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눈·인공팔… 인체공학기술의 백미

인공눈·인공팔… 인체공학기술의 백미

입력 2009-04-28 00:00
업데이트 2009-04-28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EBS 다큐10+ 28일밤 방영

사이보그의 인공눈, 무쇠 같은 인공팔을 가진 600만불의 사나이가 현실적으로 가능할까. 28일 오후 11시10분에 방송하는 EBS 다큐10+ ‘생체공학과 로봇인간’(원제·Robochick and the Bionic Boy)편은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인체공학기술을 소개한다. 또 실제 인공눈, 인공팔을 이식받은 환자들의 삶을 추적해본다.

이미지 확대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인체공학기술을 소개하는 EBS 다큐 10+ ‘생체공학과 로봇 인간’.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인체공학기술을 소개하는 EBS 다큐 10+ ‘생체공학과 로봇 인간’.


미국 세인트루이스에 사는 셰리 로버츤은 1989년 불의의 교통사고를 당해 시력을 모두 잃었다. 열 아홉 나이에 겪은 불운이었지만 윌리엄 도벨 박사가 발명한 인공 시각 장치가 그에게 희망을 던져줬다. 안경에 부착된 카메라가 영상을 전기 자극으로 바꿔 뇌에 직접 자극을 주는 방식으로 빛을 감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로버츤은 2003년 인공 시각장치를 뇌에 이식하는 수술을 자청하고 실험에 들어갔다. 하지만 2006년 도벨 박사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로버츤은 절망에 빠졌다. 도벨 박사가 죽자 인공 시각장치 연구는 돌연 중단됐다. 문제는 로버츤의 뇌 속에 이식된 인공 시각 장치였다. 그는 장치 업그레이드도 받지 못하고, 불완전하던 장치가 언제쯤 그 성능을 완벽하게 발휘할지도 모르는 상태다.

영국 서리 주에 사는 에번 레이놀즈는 한쪽 팔을 절단해야 하는 끔찍한 사고를 당했다. 열 여덟 나이에 팔을 잃게 된 그는 앞으로 살아갈 길이 막막하기만 했다. 하지만 발전된 기술은 레이놀즈에게 다섯 손가락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최첨단 의수를 제공했다. 그는 끝없는 훈련을 통해 인공팔을 자신의 몸처럼 사용하고 있다. 새로 얻은 팔은 그에게 생활의 편리함은 물론, 새로운 삶의 희망을 가져다 줬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09-04-28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