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미각(味覺)과 통각(痛覺)/김무곤 동국대 신문방송학 교수

[열린세상] 미각(味覺)과 통각(痛覺)/김무곤 동국대 신문방송학 교수

입력 2009-04-20 00:00
업데이트 2009-04-20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무곤 동국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김무곤 동국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딸아이가 초등학교에 다니던 때의 일이다. 하루는 울면서 집에 돌아왔다. 김치가 너무 매워서 먹지 않았더니 선생님께서 야단을 치시더라는 것이다. 학생이 잘못하면 꾸중을 듣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 내용이 기가 막혔다. 선생님 왈 “김치를 못 먹으면 한국 사람이 아니다.” 더 나아가서는 “매운 음식을 못 먹으면 훌륭한 사람이 못 된다.”라고 했단다.

진퇴양난이었다. 선생님이 틀렸다고 하자니 아이가 어렸을 때부터 교육자를 불신하는 나쁜 선례를 남기겠고, 선생님 말씀을 명심해서 앞으로는 어지간히 맵더라도 먹으라고 하자니 아이의 건강과 앞으로의 미각 생활에 나쁜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이었다. 당황스러웠던 기억이다.

사실은 그 선생님이 틀렸다. 내 주위에는 매운 음식을 즐기지 않는 한국 사람이 얼마든지 있다. 내 관찰로는 그 분들이야말로 매운 음식을 거의 매일 먹는 사람들보다 훨씬 더 건강하고 품위 있고 행복한 식생활을 하고 있다. 또 매운 음식을 안 먹는 사람도 훌륭한 사람이 많다. 분명 김치를 먹어보지 않았을 에디슨이나 퀴리부인도 훌륭한 사람이었고, 나폴레옹·알렉산더대왕 같은 영웅들도 고추장을 먹지 않았으리라. 멀리 갈 것 없다. 세종대왕도, 신사임당도 우리가 지금 먹는 빨갛고 매운 김치를 먹지 않았음이 거의 확실하다.

1978년에 나온 ‘고려 이전 한국식생활사 연구’ 이후, 고추는 임진왜란이 일어났던 해 일본으로부터 전래되었다는 것이 통설(通說)이다. 그런데 최근에 새로운 사료(史料)가 나왔다. 지난 2월 한국식품연구원 등의 연구진이 밝힌 바에 따르면 성종 18년(1487년)에 간행된 문헌인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에 한글로 ‘고쵸’라는 단어가 등장한다는 것이다.

이 ‘고쵸’가 지금 우리가 먹는 고추와 같은 것임이 밝혀진다면 임란(壬亂) 발발 100여년 전에 이미 한반도에 고추가 존재했다는 증거가 된다. 연구팀은 이 사실 하나를 밝히기 위해 15년간 국내외 수백편의 고문헌을 분석했다고 한다. 그동안 고추의 일본유래설 때문에 고추를 재료로 하는 우리 식품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데 어려움이 있었던 사실을 감안하면 각고의 노력에 박수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추로 만든 매운 음식이 한국인의 일상적인 식탁에 올라오게 된 것은 임란 훨씬 후의 일인 것 같다.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에도 짠지는 나오지만 김치나 고추장은 등장하지 않는다. 매운 음식 열기는 최근 한 10년 동안 가장 고조된 것 같다. 필자의 유소년기를 돌이켜보아도 매운 음식을 파는 가게가 지금처럼 거리를 온통 메우고 있지는 않았다.

오늘의 한국인들은 왜 이렇게 매운 맛에 열광하는 것일까? 음식문화평론가 김학민에 따르면 매운 맛은 사실 맛이라기보다 자극이다. 즉 , “혀에서 감응하는 미각(味覺)이 아니라 살갗 등에서 느껴지는 통각(痛覺)”이라는 것이다. 특히 미각이 아닌 통각이 식문화를 지배하게 된 것은 동시대의 팍팍한 삶과 현실에 대한 반작용으로 요구된 강한 자극의 산물이다. 그러므로 매운 음식을 한국을 대표하는 식문화로서 대할 것이 아니라 사회현상이나 유행으로 바라보아야 맞다.

과도하게 매운 음식들이 한국인의 미각과 건강을 해치고, 한국음식의 세계화를 막고 있다. 무엇보다도 매운 음식 유행의 가장 큰 악영향은 그것이 식재료를 경시하는 풍조를 조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각은 식재료를 음미하는 데서 비롯하지만, 통각의 세계는 자극의 강도가 식재료의 질과 신선도를 앞서기 때문이다. 이 봄, 혀를 호사(豪奢)시키는 즐거움보다 혀를 마비시키는 피학적 쾌락을 택하게 하는 사회의 한가운데서 도다리쑥국의 슴슴한 맛과 냉이나물의 은은한 향기를 온몸으로 받아들인다. 한국에 살아서 행복해지는 순간이다.

김무곤 동국대 신문방송학 교수
2009-04-20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