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발적?… 인간에 대한 뜨거운 애정 느껴보세요

도발적?… 인간에 대한 뜨거운 애정 느껴보세요

입력 2009-03-24 00:00
업데이트 2009-03-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산시립미술관 안창홍 ‘시대의 초상’展

‘며칠 전 아랫집에 사는 농부 손씨를 작업실로 모셔와 누드 모델을 세웠다. (중략) 가을비가 지척이는 날 드디어 작업실 문을 두드렸다. (중략) 웃옷을 벗는 순간 옷 속에서 드러난 어깨와 등판은 견고하고 당당하였다. 관찰자로서의 눈에 비친 칠순 농부의 육체는 가혹하고 변덕 많은 대지의 담금질에 생애를 바쳐 맞선 전사로서의 숭고함과 연륜의 권위가 아우러져 아름다웠다.’-‘베드 카우치5’에 대한 2008년 10월12일 작가노트.

이미지 확대
베드 카우치
베드 카우치
부산시립미술관에서 오는 5월5일까지 열리는 기획전시 ‘안창홍:시대의 초상’은 작가가 농부 손씨의 누드를 그리면서 받은 느낌을 관람자들에게 안겨주는 전시였다. 견고하고, 당당하고, 어떤 숭고함과 권위까지 느껴지는 그런 그림들이 걸려 있다. 그 느낌은 오른손에 붓을 들고 왼손으론 허리를 짚고 있는 안창홍 자신의 누드 자화상에서 극대화된다. 눈빛이 주먹을 불끈 쥔 듯 시퍼렇게 살아 있다.

경남 밀양이 고향인 안창홍(56)은 부산 동아고를 졸업한 뒤 부산과 서울 등에서 37년 동안 그림 그리기에만 전념해 온 중견 작가다. 부산시립미술관에서 그를 초대한 주요한 이유 중 하나가 부산 출신이라는 점으로 짐작되지만, 부산 인근의 관람객 입장에서만 보면 서울과 경기도 양평을 근거지로 활동하는 중견 작가의 정신세계를 일별할 기회를 갖게 된 것이다.

이번 전시는 안 작가가 2000년대 초반 이후 그린 대표작과 근작들 169점을 주제별로 나눠서 한꺼번에 보여준다. 어지간한 상업화랑의 공간에서는 한 작가의 작품을 이렇게까지 많이 보여줄 수가 없는 만큼 부산시립미술관이 큰맘 먹고 기획한 셈이다. 4m가 넘는 대형 그림인 ‘베드 카우치’ 연작을 비롯해 ‘가족사진’ 연작, ‘부서진 얼굴(Broken Face)’ 연작, ‘봄날은 간다’ 연작, 49인의 ‘명상’, ‘사이보그’ 연작, ‘자연사 박물관’ 연작, ‘헤어스타일 컬렉션’ 연작 등이 모두 등장했다.

베드 카우치 연작과 자연사 박물관 연작을 제외하면 대부분 흑백 사진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그림이다. 그는 사진첩 한 구석에서 추억과 서정을 불러일으키는 30~40년 전 중고등학교 졸업식 사진이나 가족 사진들을 현재 시점으로 불러냈다. 흑백 사진들을 칼로 찢거나 훼손시킨 뒤 다시 붙이거나 확대하는 작업 등을 통해 인물을 과장하거나 재구성한다. 그 결과 사진을 찍을 당시의 개인사적 시공간과 사연, 추억은 사라지고 작가가 그려내고자 한 현재적 의미의 개인이 드러난다. 이를테면 졸업을 통해 인생을 축하하고 희망찬 미래를 기대하는 순진한 표정의 주인공들은 30년 뒤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정치·경제·사회적 위기로 인생이 왜곡되고 희망이 굴절된 자신과 만나지 않겠나.

언뜻 보면 작품들은 퇴폐적이면서 도발적이고 공격적이다. 그것만 느끼면 작품의 표피만 본 것이다. ‘봄날은 간다’는 그의 작품 제목이 암시하듯 떠나보낸 것에 대한 아련하고 애잔한 절망들 사이에서, 작가가 그림 속에 숨겨놓은 인간과 사회에 대한 뜨거운 애정을 느껴보길 바란다. (051)744-2602.

부산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09-03-24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