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제 제대로 뿌리내리려면 대입원서 3월부터 받도록 허용해야”

“입학사정관제 제대로 뿌리내리려면 대입원서 3월부터 받도록 허용해야”

입력 2009-03-18 00:00
업데이트 2009-03-18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입학사정관 프로그램 탐방 김무환 포스텍 입학처장

“우리나라도 제대로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려면 대학들이 3월부터 원서를 받도록 허용해야 한다. 지원하려는 학생들은 고교 1년 때부터 여름방학 때 무엇을 할 것인지 고민하는 등 자기만의 시간 관리 노하우를 깨우치는 게 중요하다.”

●대학규모 따라 다양하게 적용

이미지 확대
김무환 포스텍 입학처장
김무환 포스텍 입학처장
올해 대폭 확대되는 입학사정관제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포스텍 김무환 입학처장이 내린 진단이다. 김 처장은 입학사정관 3명과 함께 지난 5일부터 15일까지 미국 코네티컷대, 위스콘신대, 올린공대 등을 다녀왔다. 미국의 입학사정관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기 위해서였다.

17일 정부 광화문 종합청사에서 만난 김 교수는 미국은 대학규모에 따라 입학사정관제 적용 양상이 다양했다고 전했다. 선발인원이 적은 대학은 사정관 면담을 하고 많은 곳은 서류전형 중심이라는 얘기였다.

“보스턴에 위치한 올린공대는 신입생 정원이 85명에 불과하다. 올해 1000명이 지원했는데 1차 서류전형에서 195명을 선발하고 공동 및 개별 인터뷰를 거쳐 최종적으로 135명을 뽑는다. 5명을 한 그룹으로 한 공동 과제 및 인터뷰에서 ‘높은 곳에서 달걀을 떨어뜨려 안 깨지게 하는 법, 행글라이더를 잘 날리는 법’ 등을 발표하게 하더라. 팀워크를 보려는 취지였다. 정원보다 많이 뽑는 것은 다른 대학으로 갈 학생들을 감안한 조치라고 했다.”

올린공대와 달리 한 해 5700명을 뽑는 위스콘신대의 경우 입학사정관이 지원자를 면담하지 않고 서류전형으로 뽑는다고 했다. 지원자가 3만명이나 돼 이들을 사정관이 일일이 다 만나는 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서다. 하지만 이 학교 사정관들은 1년에 미국 전역의 1000개 고교를 방문, 학교 실태를 관찰한다고 했다. 김 처장은 “서류만 봐도 합격시킬 애들이 있고 뭔가 부족하다 싶으면 소개서나 그동안의 경험 등을 평가해 선발하는 식이었다.”면서 “이 때문에 미국 고교생들은 A4용지 2~3장의 자기소개서 작성에 한 달이 걸릴 정도”라고 소개했다.

김 처장은 국내 입학사정관제 전형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대학의 사정관 교육과 고교현장과의 끊임없는 소통 ▲정부의 전형기간 완화 ▲지원자의 중장기 시간관리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고교 1년때부터 시간관리 필요

그는 “미국은 대학별로 고참 사정관이 신임 사정관에게 독자적인 사정권한을 주지 않고 두 달 정도 교육시킨 뒤 결정권을 주는 방식이었다.”고 소개했다. 전형기간 조정에 대해서는 “9월부터 시작되는 대입전형 기간을 완화해 3월부터 원서를 낼 수 있게 하고 필요한 성적은 그 뒤, 추가로 제출받는 방식이 가능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지원할 학생들로서는 희망하는 대학의 인재상과 학풍을 따져보고 이에 맞는 경력 관리를 하려는 시간관리가 고1 때부터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박현갑기자 eagleduo@seoul.co.kr
2009-03-18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