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조리 극작가 이오네스코 탄생 100주년 페스티벌

부조리 극작가 이오네스코 탄생 100주년 페스티벌

입력 2009-03-07 00:00
업데이트 2009-03-07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조리극의 대가인 프랑스 극작가 외젠 이오네스코의 탄생 100주년을 기리는 페스티벌이 열린다. 이오네스코는 1950년 반희곡(反戱曲)이라는 부제를 단 ‘대머리 여가수’를 발표한 이래 ‘수업’(1951) ‘의자들’(1952) ‘의무적 희생자’(1953) 등을 잇달아 내놓으며 인물과 사건 중심의 전통 서양연극 흐름에 맞서 현대 전위극의 토대를 세웠다.

11일부터 5월10일까지 열리는 페스티벌에는 극단 노을, 연희단거리패 등 중견 7개 극단이 참가해 8편의 작품을 선보인다. 첫 공연은 이오네스코의 대표작을 재구성한 극단 노을의 ‘단막극 시리즈’로 성남아트센터 앙상블시어터(11~13일)와 스튜디오76(4월2~12일) 무대에 오른다.

‘수업’(연출 이윤택)은 사뮈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 장 주네의 ‘하녀들’과 더불어 부조리극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작품. 한 여학생이 교수를 찾아와 수업을 받지만 수업은 왜곡과 소통 불능으로 점점 미로 속으로 빠져들고, 결국 주입식 교육을 거부하는 학생에게 교수는 칼을 꽂는다.

‘코뿔소’(연출 오동식)는 마을에 코뿔소가 등장하면서 마을 주민들이 속속 코뿔소로 변신하는 가운데 이에 저항하는 한 소시민의 투쟁을 그린다. 당시 유럽을 휩쓸던 나치즘의 집단 본능에 대한 풍자극이다. 이밖에 현실적 강압에 희생당하는 인간의 비극을 희극적으로 풀어낸 ‘의무적 희생자’(연출 채윤일)를 비롯해 ‘왕은 죽어가다’(연출 오세곤), ‘살인놀이’(연출 김태수), ‘의자들’(연출 기국서) 등이 공연된다. 축제 기간 ‘이오네스코와 현대연극’을 주제로 학술대회도 열린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09-03-07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