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석진 칼럼] 정동영을 위한 변명

[강석진 칼럼] 정동영을 위한 변명

입력 2009-02-12 00:00
업데이트 2009-02-12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당이 잠시 시끄러웠다. 오는 4월 재·보궐 선거에서 정동영 전 대통령 후보가 전주 덕진에 출마하느냐를 둘러싸고 찬반 입씨름이 벌어진 것이다.
이미지 확대
강석진 수석논설위원
강석진 수석논설위원


반대 입장은 대체로 정세균 당대표 주변이나 당내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386의원 쪽에서 제기된다. “굉장히 많은 표 차이로 대선에서 지는 등… 국민을 설득하는 데 무리한 감이 있다.”, “이렇게 쉬운 지역에 출마하는 것이 좋은지 깊이 고민하면 좋겠다.”는 말에는 출마하지 말고 더 자숙하라는 주문과 수도권 격전지에서 한 알의 밀알이 되어 달라는 주문이 함께 들어 있다.

찬성론도 만만치 않다. 이종걸 의원은 “정동영 공천심사 배제는 있을 수 없다.”고 되받아친다. ‘거물’인 정동영의 복귀가 부담스럽기 때문에 당권파가 반대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이들도 있다. 정동영쪽 사람들은 “반대론은 내부 총질”이라고 핏대를 올린다. 정 전 후보와 가까운 한 원외인사는 “그가 덕진에 나가겠다고 고집 피우면 공천을 안 주지는 못할 것”이라면서 “이번 사태가 어떤 형식으로든 수습될 것”이라고 내다본다.

미국에 있는 정동영은 말을 아낀다. 다만 내가 정동영이라면 반대론에 대해 변명할 말은 많을 것 같다.

#1 그래 나 대선에서 크게 졌다. 하지만 선거는 당과 함께 치른 것인데, 왜 내게만 자숙을 요구하나. 이명박 대통령 지지율이 최근 30%를 넘고 있는데 민주당은 15%대에서 게걸음이다. 내가 대선에서 얻은 지지율에 한참 못미친다.

#2 대선 직후 총선에 나가 서울 동작을에서 사력을 다해 싸웠다.

#3 솔직히 말해 수도권 재·보선 지역 가운데 이목희 전 의원이 버티고 있는 서울 금천 빼면 민주당세가 제대로 정비된 곳이 없다. 나보고 또 희생플라이 치라는 것은 심하다.

#4 정치인이 고향에서 배지 다는 것 자연스러운 일이지. 김영삼 전 대통령은 부산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은 목포에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대구에서 지지를 받아 거물이 됐다. 고향 음덕 보는 정치인 하나 둘인가. 나도 이제 고향 좀 가자.

물론 정 전 후보가 이렇게 사(私)와 개(個)의 차원에서 생각할 리는 없을 것이다. 공(公)과 당(黨)의 입장에서 그림을 그리고자 할 것이다. 그러나 공과 당 차원에 이르면 쉽게 논리가 서지 않는다. 도대체 그가 덕진에 나가는 의미는 무엇인가. 그가 던질 메시지는. 정 전 후보는 이 질문에 대답할 일차적 책임이 있다.

민주당의 문제는 인물이 별로 없다는 것만이 아니다. 더 심각한 것은 담론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담론 불임 정당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지율 게걸음의 주요 원인이다.

재·보선을 앞둔 현재, 위 질문에 더해 전체 판을 어떻게 짜고 선거이슈를 만들어 갈 것인지 대답할, 일차적 책임보다 훨씬 무거운 책임이 당에 있다. 그의 출마 문제를 얼넘기기보다는 오히려 치열하게 비전과 담론을 모색하는 계기로 삼는 게 민주당으로서는 바람직한 선택일 수 있다. 정 전 후보의 출마를 어떤 논리와 형식으로 정리하는가가 민주당으로서는 기회이기도 하고 위기이기도 하다.

임시국회를 의식해서인지 일단 이 문제가 일합만 겨룬 채 잠복성 이슈가 되고 있지만 지지율 15%인 민주당이고 보면 논쟁이라도 머리 터지게 한다 해서 더 잃을 것도 없지 않은가.

강석진 수석논설위원 sckang@seoul.co.kr
2009-02-12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