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화유동성 다시 악화 조짐?

외화유동성 다시 악화 조짐?

입력 2009-02-06 00:00
업데이트 2009-02-06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달러 환율 1400원선 다시 위협… 하나銀 정부보증 해외차관 검토

이창용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5일 외화 유동성 문제를 언급하고 나섰다. 안정에 좀 더 시간이 걸릴 것 같다는 우려다. 이날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차 금융위기’ 가능성을 우려했다. 이런 가운데 하나은행이 시중은행으로는 처음으로 정부 지급보증을 통한 해외차입을 검토하고 나서 2차 금융위기 불안감을 키운다. 그러나 2차 금융위기가 현실화될 가능성은 낮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이미지 확대


이 부위원장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제17회 희망중소기업 포럼’에 참석해 “외화 유동성 문제가 1~2월 중에 해결될 것으로 기대했으나 좀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는 최근의 외환시장 불안 조짐과 맞물려 주목된다. 원·달러 환율 변동폭이 커지고 있고, 국가부도위험을 나타내는 신용디폴트스와프(CDS) 프리미엄도 다소 들썩거린다.

올 들어 안정세를 보이던 원·달러 환율은 슬금슬금 오르기 시작해 달러당 1400원선을 다시 위협하고 있다. CDS 프리미엄은 지난달 말 3.29%포인트에서 이달 3일 3.37%포인트로 올랐다.

KDI는 ‘2월 경제동향 보고서’에서 “글로벌 실물경기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미국과 유로 등 주요국 금융기관의 부실 규모가 확대되는 등 2차 금융 위기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주요국 주가가 급락하고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다.

하나은행이 다음 달 해외채권 발행 때 정부 지급보증 요청을 검토하는 것도 이같은 시장 여건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하나은행측은 “정부 보증을 붙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하나은행이 정부 보증을 염두에 두게 된 것은 자체 신용으로 해외채권을 발행하기에는 금리가 너무 높게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앞서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과 산업은행이 각각 20억달러의 자금을 조달하면서 가산금리를 6.25% 포인트까지 줘 시중은행인 하나은행은 이보다 더 얹어줘야 한다.

가산금리를 낮추려면 정부 지급보증을 붙이는 방법밖에 없다. 그러나 이 경우 조달비용(가산금리)이 낮아지는 장점 대신 보증료(발행금액의 1%) 부담과 정부의 경영 간섭 우려가 따른다. 하나은행이 최종 결정을 망설이는 이유다. 그동안 시중은행들은 정부의 경영권 간섭 등을 우려해 ‘정부 보증’ 카드를 기피해 왔다.

하지만 한국은행이 최근 실시한 20억달러 공급 경쟁입찰에서 시중은행들이 너무 낮은 금리를 써내 7억달러가 유찰된 점을 들어 외화 유동성이 그렇게 나쁘지 않다고 보는 시각도 적지 않다.

안병찬 한은 국제국장은 “은행별 외화자금 사정을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있지만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고 진단했다. 안 국장은 “2월 사정을 1월과 비교하면 약간의 어려움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크게 좋아졌다.”면서 “2차 금융 위기 가능성에 (정책적으로) 대비는 해야겠지만 현실화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외화자금 사정이 지금보다 더 나빠질 것 같지는 않다는 설명이다.

안미현기자 hyun@seoul.co.kr
2009-02-06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