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진 자동차가 사라진다

각 진 자동차가 사라진다

입력 2009-02-02 00:00
업데이트 2009-02-02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차 그랜저는 1999년 대형 세단 에쿠스가 나오면서부터 ‘각(角)’에서 자유로워졌다. 최근 모델인 그랜저TG의 뒷모습은 울퉁불퉁하다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로 곡선미가 살아났다는 평가를 받는다. 옆선도 유선형으로 뻗어 있다.

이미지 확대
에쿠스 후속모델 스파이샷
에쿠스 후속모델 스파이샷
최근 인터넷에 유포된 에쿠스 후속 모델 VI(프로젝트명)의 시험 주행 모습을 찍은 사진(스파이샷)을 보면 이제 에쿠스도 ‘각’을 포기할 준비를 마쳤다는 게 확연해진다.

VI는 오는 17일 언론에 공개되고, 다음달 3일부터 시판된다. 4.6ℓ 타우 엔진 장착 모델의 최대 출력이 380마력에 달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현대차는 기존 에쿠스에 부여한 ‘품격’의 이미지 대신 ‘주행 성능’ 등을 마케팅 포인트로 잡고 있는 듯하다. 아직까지 확정되지 않은 VI의 이름으로 에쿠스를 그대로 사용할 확률이 높지만, 스파이샷에서의 유선형의 차체와 최고 1억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격은 기존 에쿠스와 구별되는 점이다.

그랜저에서 에쿠스까지 현대차의 최고급 모델이 반듯한 직각 형태로 외관을 꾸미면서 ‘대형차=각진 차’라는 이미지가 남아 있지만, 기아차나 GM대우 등의 역대 대형 세단은 대부분 각이 지지 않았었다. 2000년대 초에 나왔던 기아차 엔터프라이즈 정도가 각진 외양을 선보였다. 기아차의 오피러스, GM대우의 프린스와 아카디아, 최근의 베리타스, 쌍용차의 체어맨 시리즈, 르노삼성의 SM7 모두 유선형 차체 디자인을 채택했다.

이 가운데 지난해 2월 선보인 쌍용차의 체어맨W와 기존 모델인 체어맨H는 지난해 1만 2868대가 팔릴 만큼 경쟁력을 보여 줬다.

업계 관계자는 “각진 디자인을 쓸 경우 실내 공간이 넓게 느껴지고, 차 자체가 크고 견고해 보이는 효과도 생긴다.”고 말했다. 반면 안전성과 주행 성능에서는 외관의 각이 반듯한 게 마이너스 요인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09-02-02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