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4명 로스쿨 벽 넘었다

장애인 4명 로스쿨 벽 넘었다

입력 2008-12-06 00:00
업데이트 2008-12-06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대가 5일 2009학년도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합격자 150명을 선발해 발표한 가운데 장애인 4명이 신체의 불리함을 딛고 당당히 합격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서서히 시력을 잃기 시작해 지금은 거의 앞을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 김재왕(30)씨.김씨는 2005년부터 인권위원회에서 일하며 장애인들이 미비한 법 때문에 불이익을 받는 모습을 보면서 잘못된 현실을 바꾸고 싶어 법을 공부하기로 했다고 한다.

올 초부터 로스쿨을 준비하기 시작한 그는 컴퓨터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 주는 프로그램(스크린 리더기)을 이용해 하루 수시간씩 공부한 끝에 법학적성시험(LEET)에서 고득점을 올릴 수 있었고 결국 10대1의 경쟁률을 뚫고 특별전형에 합격했다.

김씨는 “수년간 생활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장애를 갖고 사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뼈저리게 깨달았다.”면서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공익인권 분야를 공부해 장애인들의 권익 신장을 위해 힘을 보태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로스쿨 합격자들이 모두 훌륭한 사람들일 텐데 들어가서 잘할 수 있을까 걱정도 많이 된다.”면서도 “다시 한번 공부할 기회가 주어진 만큼 공부 그 자체가 목표라는 생각으로 열심히 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학부에서 의학을 전공했다는 장용혁(27)씨.장씨는 대학시절 근육 세포가 죽는 근이양증을 앓으면서 인턴을 마친 뒤 의사의 길을 포기해야만 했고 진로를 틀어 로스쿨에 도전했다.의학 지식을 바탕으로 의료전문 변호사가 되려는 생각에 로스쿨에 지원했다는 장씨는 자신처럼 몸이 불편한 장애인 등 소외계층을 대변하는 인권변호사가 되고 싶다는 꿈을 갖고 있다.

이밖에도 서울대 로스쿨에는 하반신이 마비돼 휠체어를 타고 입학전형을 치른 이재근씨와 수년간 장애인권 분야에서 꾸준히 활동을 해온 지체장애인 김원영씨도 합격의 영광을 안았다.

정상조 법학과 교수는 “이번 로스쿨 전형의 특징은 장애인과 그 밖의 소외계층 등에서 보다 다양한 학생들을 선발하려 노력했다는 점”이라면서 “지금과 같은 힘든 시기에 이들이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의 증표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08-12-06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