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왕우렁이를 어떡해!

[단독] 왕우렁이를 어떡해!

김상화 기자
입력 2008-11-15 00:00
업데이트 2008-11-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경부 “생태계 파괴 주범”

‘생태계 파괴의 새 주범이다.´

‘친환경 농법의 공신이다.´

이미지 확대
‘외래종 왕우렁이´가 환경부와 농림수산식품부 사이에 끼여 느닷없이 ‘퇴출 위기´에 놓였다. 14일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환경부는 최근 농림부에 “세계 100대 침입종의 하나인 왕우렁이 때문에 국내 생태계 파괴가 심각하다.”며 “내년 농사부터 왕우렁이를 이용한 벼 생산을 최대한 억제해달라.”고 요청했다.

몸집이 토종 우렁이의 2배 정도인 왕우렁이가 논바닥에서 인근 하천 등으로 유입되면서 수초를 닥치는 대로 먹어 치우고 토종의 서식환경을 훼손한다는 것이다. 왕우렁이가 ‘생태계 교란 야생동·식물´로 지정되면 법규에 따라 수입 및 방류 금지는 물론 즉시 퇴치에 나서야 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왕우렁이를 생태계 교란 야생 동식물로 지정, 관리하는 자체 방안을 마련해 놓고도 농림부의 요청에 따라 공표를 계속 연기하고 있는 실정”이라면서 “언제까지나 덮어둘 수만은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문제는 왕우렁이를 활용한 벼 재배 면적이 날로 급증하고 있다는 점. 최근 5년간 왕우렁이를 이용한 벼 생산면적은 2004년 4649㏊에서 2005년 1만 3786㏊,2006년 2만 8774㏊,2007년 5만 1111㏊로 급증했다. 올해는 7만18㏊로 2004년에 견줘 15배나 증가했다. 친환경 벼농사가 어려운 농촌경제에 활력소가 되고 있는 점은 분명하다.

농림부와 지자체, 농민들은 “벼 친환경 농법의 70% 정도를 차지하는 왕우렁이를 퇴출시키면 친환경 벼농사를 모두 망칠 수 있다.”며 환경부 요청을 거부했다.

농림부 관계자는 “왕우렁이의 폐해가 환경부의 주장처럼 심각한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농림부는 ‘억울한 왕우렁이´의 입장을 대변해 정부와 연구기관, 농민단체가 공동 참여하는 실태조사를 제안했다.

열대지방이 원산지인 왕우렁이는 타이완에서는 벼농사에 막대한 피해를 준다는 이유로 양식이 금지됐고, 일본은 1984년 검역해충으로 공식지정했다. 번식력이 워낙 강해 한달에 2000여개 알을 낳고,60일 만에 성체로 자란다.

대구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2008-11-15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