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보상운동기념관 국민 힘으로 세우자”

“국채보상운동기념관 국민 힘으로 세우자”

한찬규 기자
입력 2008-10-15 00:00
업데이트 2008-10-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5일 대구서 모금운동 발대식… 2010년 완공 목표

국채보상운동기념관(조감도)이 시민성금으로 건립된다.

이미지 확대
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대구에서 시작된 뒤 서울신문의 전신인 대한매일신보가 캠페인을 적극 벌이면서 전국으로 확산됐다. 전 국민이 금연 등을 통해 돈을 모아 국채 1300만원을 상환하려는 운동이 크게 일자 일제는 대한매일신보를 탄압, 국채보상운동을 중단시켰다.

사단법인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산하 국채보상운동기념관 모금추진위원회(위원장 남성희 대구보건대학장)는 15일 대구 중구 동인동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서 기념관 건립을 위한 모금운동 발대식을 갖는다.

기념관을 짓는 데 드는 금액(총 67억원) 중 확보된 국·시비 40억 2000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26억 8000만원을 내년 4월 말까지 국민성금을 통해 충당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추진위원회는 대구은행(242-10-001012), 국민은행(616101-04-157106), 농협(150012-51-225134) 등에 개설된 계좌와 대구상공회의소 7층에 설치된 상설모금함 등을 통해 모금활동을 벌인다. 또 기관·단체·고액기부자·시민기부자 등으로 다양하게 나눈 협조문을 기관·단체 등에 발송키로 했다.

이와 함께 서울과 부산 등 전국 상공회의소에도 모금함을 보내 각 지역 시민단체와 연계해 운동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시민 모금창구 개설, 온라인 홍보 등을 할 방침이다.

국채보상운동기념관은 올해 말 착공해 2010년 초까지 대구시 중구 동인2가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내에 연면적 1585㎡, 지하 1층·지상 3층 규모로 세워진다. 이 곳에는 기념전시실, 영상영사실, 체험기획실, 역사자료실, 학술연구소, 회의실, 국채보상운동연구소, 시민휴게실 등이 들어선다.

발대식에는 김범일 대구시장과 김관용 경북지사, 이인중 대구상공회의소 회장 등 기관·단체장과 시민들이 참석하며 국민성금 퍼포먼스 , 기부자 띠잇기, 홍등날리기, 사랑의 비둘기날리기 등 다양한 문화행사가 열린다.

남성희 추진위원회 위원장은 “국채보상운동은 남자는 담배를 끊고 여자는 패물을 처분하면서까지 동참했다.”며 “기념관건립 운동에도 학생·시민 등 많은 사람이 참여해 국채보상운동의 정신을 이어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08-10-15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