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나는 11일의 나와 같을까

지금의 나는 11일의 나와 같을까

황수정 기자
입력 2008-10-10 00:00
업데이트 2008-10-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다중인격의 심리학 】

소설 ‘지킬박사와 하이드씨’의 주인공은 선과 악의 극단적 인격을 지녔다. 그렇듯 사람들은 다중인격의 소유자는 반드시 문제적 인간이라고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인격의 다중성을 병으로 해석해야 할까.

‘다중인격의 심리학’(리타 카터 지음, 김명남 옮김, 교양인 펴냄)은 단호히 “No”라고 대답한다. 영국의 과학·의학 전문 저널리스트인 지은이는, 다중인격은 복잡한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인간의 뇌가 발달시킨 자연스러운 생존전략이라고 주장한다.

뇌과학 연구에 천착해온 저자는 이런 물음을 던진다. 지금의 ‘나’는 내일의 ‘나’와 같을까. 심리학과 뇌 과학을 통해 인간의 행동방식을 관찰해온 저자는 그렇지 않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시간의 흐름과 상황에 따라 인간의 인격은 변화하며, 자아의 다중성을 인정하고 나면 인간관계를 훨씬 부드럽게 풀어갈 수 있다고 설명한다. 동일한 사람이 때때로 상반된 행동이나 모순된 성격을 드러내는 상황도 얼마든 이해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다양한 방증들을 동원한다.18세기 말 유럽을 떠들썩하게 만든 오스트리아 의사 메스머의 최면 시술과 신부의 퇴마술은 물론이고 19세기를 풍미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까지 전방위로 관심의 촉수를 뻗친다. 인간의 다중성에 대한 흥미진진한 실험과 연구역사를 통해 인격이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되고 작동하는지, 왜 현대사회에서는 인간의 다중성이 점점 더 심해지는지 등을 두루 파악했다.

책에 따르면, 인간의 내면은 세 가지 인격으로 이뤄졌다. 사고, 욕구, 의도, 감정, 신념 등 중요의식들을 갖춘 ‘주 인격’, 특별한 상황에서만 발현되는 ‘보조 인격’, 그리고 몸짓과 말투에서 산발적으로 드러나는 버릇 등을 지칭하는 ‘미시 인격’이다. 이들 인격요소가 개인마다 어떻게 다르게 구성돼 있는지 따져보는 방법을 일러준다. 개별 인격의 특성을 짚어보는 새로운 도구로 ‘인격바퀴’(Personality Wheel)도 제시한다. 인간 내면에 공존하는 여러 인격들의 특징을 시각적으로 표현해 그들의 상호작용과 대립관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해 당장 적용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책은 심리실용서로도 유용하다.1만 4800원.

황수정기자 sjh@seoul.co.kr
2008-10-10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