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시각] 와인과 한국관광/손원천 미래생활부 차장

[데스크시각] 와인과 한국관광/손원천 미래생활부 차장

입력 2008-09-10 00:00
업데이트 2008-09-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손원천 미래생활부 차장
손원천 미래생활부 차장
와인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여전히 뜨겁다. 와인을 주제로 한 서적이 불티나게 팔리고, 와인 전문 매장과 와인 바 등도 곳곳에서 성업 중이다. 그 ‘뜨거운 관심과 수요’가 국내산 와인에 대한 것이 아니어서 다소 유감스럽지만 말이다.

곰곰 살펴보면 와인과 국내 관광은 닮은 점이 많다. 관심과 수요가 많은 것이 그렇고, 늘 국내산보다 수입산이 선호된다는 것도 그렇다. 과연 ‘잘 키운 국내산 와인 하나, 열 수입산 안 부럽다.’는 명제는 성립될 수 없는 것일까.

서울 중구 태평로 지역홍보센터가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23개 지방자치단체에서 각 지역의 특산물을 활용해 와인을 만들어 내고 있다. 포도와 산딸기(복분자)·사과 등이 주재료이고, 송이버섯이나 감 등이 쓰이는 경우도 있다. 적지 않은 지자체에서 다양한 와인을 만들어 내고 있는 셈이다.

이 중 충북 영동의 ○사에서 생산한 ‘샤또 마니’란 브랜드의 와인이 비교적 성공작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수입산 와인들의 각축 속에서 토종 와인이 그나마 선전하고 있는 이유 중에는 명산지에서 생산된 질좋은 포도와 양조 기술 등 기본적인 요인들 외에 ‘와이너리 투어’(winery tour)를 적절히 운용한 것도 한몫 한 것으로 보인다.

○사 관계자에 따르면 매주 두 차례 서울과 영동을 오가는 네 량의 ‘와인 열차’가 테마여행 상품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한다. 화요일엔 두 량, 토요일엔 네 량이 가득 찰 정도로 사람들이 몰린다는 것.

이처럼 소비자를 와인 산지로 유도해 와인 소비뿐 아니라 그 지역에 대한 친밀감을 높여 관광 수요까지 촉발시키는 것이 와이너리 투어의 효과다. 호주, 프랑스 등 와이너리 투어 선진국들이 교육적 차원에 머물지 않고 골프, 스파, 미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과 연계해 와이너리 투어의 상품성을 높이는 것도 이런 까닭이다.

이제 논의의 배경을 충북 충주시로 옮겨 보자. 충주호, 충주사과 등 적지 않은 관광 자원을 가진 도시다. 현지인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광객들이 찾지 않는다고 하소연한다. 왜 그럴까.

관심을 사과로 좁혀 보자. 고유명사처럼 유명해진 충주사과에 더해 사과 와인도 출시돼 있다. 사과 국수란 파생 상품도 만들어 뒀다. 충주 시내에 서정적인 사과마을과 와인터널도 있고,‘리쿼리움’이란 술박물관도 있다. 물안개로 사과의 맛을 더해주는 충주호도 있다. 이쯤되면 ‘사과로 만든 술’에 관한 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 있을 만한 여건이라 보여진다.

그런데 관광객 입장에서 보자면 하나하나 독립변수로만 존재할 뿐 연관성을 찾을 수 없다는 게 문제다. 사과야 인터넷에서 사면 되는데 무엇하러 충주까지 가겠는가. 여러가지 요인들을 하나로 꿰 관광객을 유인할 보배 덩어리로 만드는 ‘그 무엇’이 부족하다는 얘기다.‘그 무엇’을 만드는 작업은 지자체에서 해야 한다. 여러 요인들에 스토리 텔링을 얹고, 편의성을 더해 관광객들이 찾을 만한 상품으로 만들어 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해마다 사과축제가 열린다. 지자체에서는 이 행사를 통해 충주 사과의 진면목을 보여주겠다고 벼르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축제 한 번 치렀다고 사람들에게서 충주와 충주사과에 대한 애정이 듬뿍 솟아날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일회성 행사보다는 연중 찾을 수 있는 요인들을 만들어 내는 것이 지자체의 역할이고 책무다.

사실 충주시는 국내 관광의 현실을 상징한 것뿐이다. 그보다 더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지자체가 수두룩하다. 재료가 없지는 않다. 이제 그것들을 모아 ‘작은 요인들의 힘’을 보여줄 때다. 그래야 비로소 ‘잘 키운 국내산 와인 하나, 열 수입산 안 부럽다.’는 명제가 성립될 게다.

손원천 미래생활부 차장
2008-09-10 30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