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사적 관점서 본 독도문제

해양사적 관점서 본 독도문제

강아연 기자
입력 2008-08-29 00:00
업데이트 2008-08-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독도견문록

독도문제를 해양사적 관점에서 조명한 책이 나와 관심을 모은다.

민속학자 주강현씨가 펴낸 ‘독도견문록-울릉도에서 시마네현까지:풍경을 넘어 독도를 넘어’(웅진지식하우스 펴냄).

저자에 따르면 독도문제는 한마디로 해양제국의 논리가 고스란히 적용된 범지구적 해양사의 문제다.

저자는 울릉도에 관한 이야기에 큰 비중을 할애한다. 이는 ‘독도는 우리 땅’임을 주장할 수 있는 가장 큰 근거가 독도에 대한 역사적·실효적 지배에 있기 때문이다.

저자에 따르면, 울릉도의 가시거리에 있는 독도는 울릉도민이 일상적으로 어로활동을 펼친 생활 터전이었다.

조선 중기 어민 안용복이 일본의 무단 출어에 대해 일본까지 가서 항의한 사건은 이를 입증하는 사실 가운데 하나다.

하지만 저자는 울릉도 역시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탈에서 자유롭지 못했다고 말한다. 어업자원을 착취당하기도 하고, 원시림이 남벌되기도 했다.

그러나 울릉도 곳곳에서 발견되는 고분군과 고대 유물 등은 울릉도가 한반도 본토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결정적인 사례라는 것.

그렇다면 독도가 한국령에서 분쟁지역으로 둔갑해가는 것을 어떻게 봐야 할까. 저자는 “제국주의 해양 팽창 과정에서 배운 수법을 일본이 그대로 한반도에 적용한 결과이며, 기존의 역사적 연고권을 완전히 무시하고 ‘무인도 리앙쿠르’ 선점이라는 제국의 방식이 그대로 강변되고 있다.”고 해석한다.

그런 맥락에서 독도 문제는 제한적인 한·일 관계사의 차원이 아니라 제국주의 논리가 첨예하게 적용된 범지구적 해양사의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독도가 한반도의 부속도서였음을 보여주는 문헌·신문기사 등 다양한 역사적 자료와 희귀사진, 구전 녹취물을 발굴해 제시한다.320여컷의 독도 현장사진이 이해를 돕는다.2만 5000원.

강아연기자 arete@seoul.co.kr
2008-08-29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