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인과관계 찾기 게임/강미은 숙명여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열린세상] 인과관계 찾기 게임/강미은 숙명여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입력 2008-08-23 00:00
업데이트 2008-08-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강미은 숙명여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강미은 숙명여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매스미디어가 폭력적인 장면을 많이 보여줄수록 범죄율도 높아지고 시청자의 난폭성도 높아진다는 공식은 오랜 세월동안 언론학자들의 연구과제였다. 그렇다는 주장과 그렇지 않다는 주장이 팽팽하게 맞서 왔다.

하지만 수백 건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TV폭력과 사회의 폭력간의 관계에 대한 결정적인 결론은 내려지지 않았다. 왜?이유는 하나다. 어떤 일과 다른 일 사이의 인과관계를 찾기란 말처럼 쉽고 간단한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회구조가 발달하고 복잡할수록 일대일의 인과관계를 찾기란 더 어려워진다.

어떤 결과에 대한 원인을 찾으려면 우선 논리적인 인과관계가 성립되어야 한다.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는 인과관계를 논리적으로 성립시키는 데는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시간적 순서다. 원인은 결과보다 앞서서 일어나야 한다. 시간적으로 뒤에 일어난 일이 앞선 일의 원인이 된다는 건 어불성설이다. 예를 들어서 아버지의 교육정도가 자녀의 교육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어도, 자녀의 교육수준이 아버지의 교육수준을 결정지을 수는 없다.

두 번째 조건은 상관관계다. 두 변수가 함께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조건이다. 예를 들어서 눈이 많이 오는 날 교통사고가 많이 난다면, 눈과 교통사고에는 분명히 상관관계가 있다. 이런 경우는 눈이 교통사고의 원인이 된다. 눈과 교통사고 사이에는 상관관계와 인과관계가 다 존재한다. 하지만 두 변수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해서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의 원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인과관계가 성립될 수 없는 상관관계도 무수히 많다.

‘다른 원인’은 없는가. 이 점이 바로 인과관계를 성립시키는 세 번째 조건이다. 두 변수 사이에 인과관계가 성립되려면 다른 제3의 변수가 개입되지 않아야 한다. 사람이 나이가 들면 흰 머리가 많아지게 마련이다. 또한 나이가 들면 병원출입도 잦아져서 병원비가 많이 든다. 그렇다고 해서 ‘흰 머리’가 ‘높은 병원비’의 원인이라고 주장할 사람이 있을까? 엄연히 존재하는 ‘나이’라는 제3의 변수가 흰머리를 많게 하고 병원출입을 잦게 하는데도 말이다. 어느 학생이 시험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고 하자. 또 그 학생이 피곤해서 쓰러질 지경이라고 하자. 그렇다고 ‘좋은 점수’가 ‘피곤함’을 유발한 건 아니다. 시험준비를 하느라고 밤을 새운 것이 진짜 이유다. 밤을 새우면서 공부를 했기 때문에 피곤하고, 또 덕분에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었던 것이다.

두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가 성립되려면 시간적 순서, 상관관계, 다른 원인의 배제 등 세 가지 조건들이 다 충족되어야 한다. 어느 한 조건이라도 충족되지 않는다면 ‘A가 B의 원인’이라는 단정을 할 수는 없다. 인과관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방법도 찾기 힘들다. 집에 불이 났는데 소방차를 부르지는 않고 가구만 이리저리 재배치하는 격이 되기 쉽다.

인간의 사고체계에는 늘 복잡다단한 원인을 생각할 만한 여유가 없다. 그래서 ‘지름길’로 쓰이는 것이 사회적 편견과 고정관념이다. 복잡한 일에 간단한 판단기준을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손쉽게 하나의 원인을 찍어서 내세우게 되기도 한다. 간단한 희생양을 찾기도 한다. 하지만 복잡한 일일수록 원인과 결과에 대한 인과관계를 단순화시켜서는 안 된다.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단답형 시험문제로 간주하려는 접근방식은 단순사고나 획일화의 위험을 안고 온다. 단순하고 과격한 인과관계 설정은 삼가야 한다. 사회적 문제를 푸는 데는 다각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복잡한 사회 문제를 두고 ‘A가 B의 원인’이라고 단정 짓는 경우가 많다. 그렇지만 곰곰이 따져보면 인과관계를 성립시킬 수 없는 어설픈 논리일 때도 있다. 그런 식으로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단순화시키는 오류를 범하지는 말자.

강미은 숙명여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2008-08-23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