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서 다시 고개든 사회주의

日서 다시 고개든 사회주의

박홍기 기자
입력 2008-08-05 00:00
업데이트 2008-08-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쿄 박홍기특파원|빈부의 차가 갈수록 벌어지는 양극화는 한국만의 문제는 아니다. 일본에서는 심화되는 격차 탓에 한물간 사회주의가 다시 꿈틀대고 있다.

일본 공산당의 당원이 늘어난 데다 프롤레타리아 문학과 사회과학서적도 각광을 받고 있다. 때문에 아직 크지는 않지만 사회 인식의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일본 공산당 기관지인 ‘아카하타(赤旗)’는 지난해 9월 중앙위원회 총회 이후 지난달까지 신규당원이 1만명을 넘어섰다고 지난 2일 전했다. 공산당원은 1990년 50만명을 정점으로 줄어들어 현재 40만명선에 머물러 있다. 공산당은 “경험한 적이 없는 새로운 상황”이라며 내심 놀라고 있다. 올해 신규 당원의 목표도 2만명 이상으로 높여 잡았다. 일본 총무성의 2007년 취업구조기본조사 통계에 따르면 파트타임이나 아르바이트, 파견사원 등으로 생계를 꾸려가는 비정규직은 전체 노동자의 35.5%인 1737만명에 달했다. 역대 최대치다. 주목할 점은 신규 당원의 20%가 30세 이하,20%는 60세 이상이라는 사실이다.

공산당 측은 “아무리 일해도 비전을 가질 수 없는 현실에 대해 자기 책임, 자기 탓으로 돌리던 젊은이들이 정치 책임, 사회 구조에 맞추고 있다.”고 해석했다. 정치의 변혁을 꾀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고령자들의 경우,75세 이상의 의료보험료를 연금에서 원천 공제하는 ‘후기고령자 의료보험제도’의 추진에 따른 반발이다.

일하는 빈곤층인 ‘워킹푸어(working poor)’ 전문가인 아카기 도모히로는 “젊은이들이 공산당을 선택하는 적극적인 이유는 없다. 자민당에 식상한 데다 민주당에도 기대하지 않는 사람들의 반사적인 판단”이라고 진단했다.

사회적 분위기도 변하고 있다. 일본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대표격인 1929년 출판된 고바야시 다키지의 소설 ‘가니코센(蟹工船·게 통조림 제조선)’이 다시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80년전 오호츠크해에서 게를 잡아 통조림을 만드는 배 ‘히로미쓰마루’의 선원들이 겪는 혹독한 노동·분노·투쟁을 그린 작품이다. 출판사 신초문고에 따르면 해마다 5000부 정도가 팔렸지만 지난 3월부터 6월까지 독자 수요에 맞춰 35만 7000부를 새로 찍었다. 또 28년만에 ‘추천책 100권’에 들어갔다. 독자의 30%는 20대로 일본 사회를 지배하는 ‘자기 책임론’에 짓눌린 세대들이다.

지난해 11월 발행한 만화 ‘가니코센’도 1만 6000부를 넘어섰다. 일본의 노동 현실에 견줘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재해석한 경제학자 마토바 아키히로의 ‘자본론’은 지난 4월 발간된 뒤 벌써 5만부나 팔려 베스트 셀러에 올랐다. 외교평론가 다쿠보 다다에는 산케이신문에서 “일본 정치의 기능은 불완전하다. 국민들은 일본이 어디로 가는지를 알지 못하고 있다. 의지할 곳을 잃었다. 워킹푸어는 증가하고 격차는 확대되고 있다. 그런데도 분배론의 논의는 없다. 위험한 징조”라고 지적했다.

hkpark@seoul.co.kr

2008-08-05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