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탐사로 푼 민물장어 수수께끼

생태탐사로 푼 민물장어 수수께끼

강아연 기자
입력 2008-07-03 00:00
업데이트 2008-07-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어 확보 전쟁이 치열하다. 세계적으로 자연산 장어가 멸종 위기에 처하면서 타이완과 일본 등은 국가적 차원에서 장어 수출을 금지하고 나섰다. 적어도 3억 5000년의 역사를 지닌 장어가 어쩌다 멸종 위기에 처한 것일까.MBC스페셜은 4일 오후 9시55분 ‘자연산-장어와 인간’편을 방영한다. 장어 생태 탐사를 통해 장어에 관한 수수께끼를 풀어본다.

이미지 확대
4일 방영되는 MBC스페셜 ‘자연산-장어와 인간’의 한 장면.
4일 방영되는 MBC스페셜 ‘자연산-장어와 인간’의 한 장면.
민물장어의 생태에 대해서는 어민들도 잘 모른다. 민물장어의 알을 봤다는 사람도 드물고, 폭포를 거슬러 오르는 힘의 원천에 대해 아는 사람도 드물다.

제작진은 이처럼 베일에 싸인 장어의 삶을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문화재청의 동의를 얻어 천연기념물 제27호로 지정된 ‘무태장어 서식지’ 천지연 폭포에 들어갔다. 크기로 봤을 때 같은 어류 내에서는 천적이 없어보이지만, 장어는 무척 조심성이 많다. 활동도 주로 밤에 하고, 돌 틈이나 개펄에 몸을 감추고 지낼 때가 많다. 가끔 보기 드문 광경도 목격할 수 있다. 나뭇가지에 몸을 걸쳐 위장을 하거나 한낮에 돌 위에 배를 대고 유유히 일광욕을 즐기는 모습 등이 그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장어가 민물에 사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사실은 바다와 강을 오가는 회유성 어류다. 연어와 반대로 강에서 자란 후 자신의 고향인 태평양 깊은 바다로 돌아가고, 그 곳에서만 산란한다. 한반도에서 3000㎞나 떨어진 태평양 한가운데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은 무려 9개월. 그동안 장어는 아무것도 먹지 않는다.

어미의 기나긴 여정에서 시작된 어린 생명은 8개월에 걸쳐 어미가 왔던 길을 되짚어 강으로 올라온다.5∼6월에 태어난 유생은 구로시오 해류를 타고 오다 대륙붕 부근에서 실뱀장어가 된다. 심해에서만 산란을 하는 장어의 특이한 습성 때문에 장어에 대한 인공 종묘 생산 기술은 아직도 정립돼 있지 못한 상태다. 이 때문에 인간은 수급 균형을 위해 민물로 오는 실뱀장어를 채집한다. 생태의 악순환은 여기서 비롯된다. 사람들이 장어새끼를 잡아 키우니 바다로 돌아가는 어미 장어의 수가 줄게 되고 더불어 새끼가 또다시 줄어들게 되는 것. 장어 멸종 위기를 초래하는 또 하나의 요인은 높은 하구둑이다. 강과 하천의 하구가 연어만이 뛰어넘을 수 있도록 설계돼 장어는 바다로 가지도, 민물로 오르지도 못하는 경우도 많다. 제작진은 “장어 생태를 위해서라도 하구둑을 없애거나 자연친화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한다.

강아연기자 arete@seoul.co.kr
2008-07-03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