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이 총리각하라 해 나도 주석각하 호칭”

“김일성이 총리각하라 해 나도 주석각하 호칭”

황수정 기자
입력 2008-05-28 00:00
업데이트 2008-05-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영훈 전 총리 회고록 ‘나라를 사랑한 벽창우’ 펴내

강영훈(87) 전 국무총리가 27일 자신의 80평생을 정리한 회고록 ‘나라를 사랑한 벽창우’(동아일보사)를 펴냈다. 평안북도 창성군 시골마을에서 태어나 외교관이 되고 한 나라의 총리가 되기까지 개인의 성장과정과 1988∼1990년 총리를 지내며 남북고위급회담을 주도했던 뒷이야기 등을 담담한 어조로 되짚었다.

1990년 10월 평양에서 열린 2차 남북고위급회담에서 김일성 주석을 만났을 때의 일화 한토막.“우리 국민감정을 고려해 나는 김 주석에 대한 호칭을 주석 또는 주석님 정도로 하고 각하란 호칭을 안 쓰기로 작심했다. 하지만 대화 도중에 김 주석이 뜻밖에도 내게 ‘강영훈 총리 각하’라고 하는 바람에 나도 ‘주석 각하’라는 호칭을 썼다. 상대가 그렇게 호탕하게 나오는데 나만 그렇게 하지 않으면 옹졸한 처사라고 생각한 것이었다.”

육군사관학교 교장과 외교안보연구원장, 주영 대사, 주 교황청 대사 등 화려한 경력을 거치며 만난 수많은 사람들과의 에피소드도 담았다.

1987년 3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주 교황청 대사 임기를 마치고 떠나는 강 전 총리 부부와 사진촬영을 하고 손을 꼭 잡아주던 당시를 그는 “그 손길에서 전해지는 성하의 따뜻하고 무한한 사랑을 느꼈다.”고 회고한다. 또 주영 대사 시절 만났던 엘리자베스 영국 여왕에 대해서는 “우리나라 의친왕의 아들 이우 공의 비 박찬주 여사가 주는 느낌과 흡사해 부드러운 가운데서도 위엄있는 그런 모습이었다.”고 적고 있다.

영변 농업학교 3학년 시절 조선총독부의 지시로 ‘조선어독본’ 공부를 할 수 없게 된 것을 계기로 민족의식을 깨우치고 부모 몰래 일본으로 유학을 감행했던 이야기,1990년 2차 남북고위급회담 마지막날 45년만에 누이동생과 조카를 만났던 감격스러운 순간에 대한 회고 등도 눈길을 끈다.

황수정기자 sjh@seoul.co.kr
2008-05-28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