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철의 플레이볼] 투수가 던지는 공의 종류

[박기철의 플레이볼] 투수가 던지는 공의 종류

입력 2008-05-27 00:00
업데이트 2008-05-2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투수가 던지는 공의 종류는 얼마나 될까? 생각나는 대로 나열해보자. 직구로 불리던 빠른 공, 커브, 슬라이더, 포크볼, 체인지업, 커터, 서클체인지업, 팜볼, 스크루볼,SF 등 기억하기조차 힘들 정도로 많은 종류의 공을 투수가 던진다고 한다.

정말 투구의 종류는 이렇게 많을까? 물리학자에게 물어보자. 그들은 회전하는 공과 회전하지 않는 공, 달랑 두 개로 나눈다. 한때 물리학을 배웠고 야구장을 30년 이상 쫓아다닌 필자는 투구의 종류를 세 개로 나눈다. 전진 회전구, 후진 회전구, 그리고 무 회전구다.

전진 회전구란 커브를 비롯해 슬라이더와 같이 공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해 나가면서 떨어지는 성질을 갖고 있다. 후진 회전구는 진행방향과는 반대로 회전하며 나간다. 이른바 빠른 공이다. 많은 야구팬들, 심지어 전문가들까지 그러면 후진 회전구는 솟아오르느냐는 의문을 갖는다. 이는 사실이기도 하고 거짓이기도 하다. 인간이 던질 수 있는 공의 빠르기와 회전력으로는 지표면에서 솟아오르는 공을 던질 수 없다.

그러나 상대적으로는 분명히 솟아오른다. 메이저리그 투수가 던지는 공의 분당 회전수(rpm)는 1500 정도다. 시속 130㎞ 속도로 공을 뿌리면 전진 회전과 후진 회전의 높이 차이는 50㎝를 넘는다. 같은 전진 회전이라 해도 rpm이 500 정도 차이가 나면 5㎝ 정도의 차이로 홈플레이트를 지난다.5㎝가 별거 아닌 것처럼 보이나 투구에서 이 정도는 홈런과 병살타를 가르기에 충분하다.

다양한 구분을 하든, 간단한 구분을 하든 무 회전구는 당당히 분류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런데 실전에서 사용되는 빈도는 1%에도 미치지 못한다. 그렇게 희소한 투구가 당당히 한 자리를 차지하는 이유는 워낙 독특한 성질을 가지기 때문이다. 투수들이 회전구를 던지는 이유는 타자를 속이기보다 더 큰 게 있다.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공을 던지려는 목적이다. 빠른 공이건, 슬라이더건, 커브건 마찬가지다. 유체 속을 지나는 물체는 회전하지 않으면 주변 공기에 난류(亂流·유체역학 용어로, 유체의 각 부분이 시간적이나 공간적으로 불규칙한 운동을 하면서 흘러가는 것)가 발생해 원하는 방향으로 통제하는 데 무진 애를 먹는다.rpm 1500의 회전구는 보통 투수 손을 떠나서 홈플레이트에 이르기까지 10번 정도의 회전을 한다.

우수한 투수의 경우 이런 회전수에 따라 난류가 줄어들어 공이 가는 방향을 예측할 수 있어 10㎝ 미만의 정확도로 같은 위치에 공을 던질 수 있다. 너클볼은 아예 난류에 공의 방향을 맡겨 버리므로 투수도, 포수도, 타자도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마구다. 역사가 오래된 메이저리그에서도 너클볼을 던지는 투수는 손에 꼽을 정도다. 우리나라에서는 박철순이 흉내를 내는 데 그쳤으며, 최근에 마일영과 옥스프링이 던진다고 해서 화제가 되고 있다. 물론 한국 선수들은 메이저리그 너클볼러의 80% 정도밖에 던지지 못한다. 한 경기에 겨우 한두 개뿐이다. 너클볼 전담 포수로 유명했던 선수에게 공을 잘 잡는 비결을 물었다.“아주 쉬워요. 몸으로 막고 굴러가는 공을 집어 들면 돼요.”

‘스포츠투아이’ 전무이사 cobb76@gmail.com

2008-05-27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