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기업 유치 일궈낸 마산 시민의 힘

[사설] 기업 유치 일궈낸 마산 시민의 힘

입력 2008-05-16 00:00
업데이트 2008-05-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남 마산시와 STX중공업이 7개월 넘게 반대 민원에 부딪혀 공전을 거듭하던 조선기자재공장 건설에 조건부로 합의했다. 오는 30일까지 반대론자들을 적극 설득한다는 조건이 붙어 있으나 마산시 공무원들과 지역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나선 결과다. 특히 여성단체들은 “우리 자식들이 일자리가 없어 객지를 전전하고 있다.”며 기업 유치에 혼신의 노력을 다했다고 한다. 마산시도 ‘반기업 도시’로 낙인찍히면 마산의 미래는 없다며 주민들을 설득했다.STX공장이 유치되면 3000∼5000명에 이르는 고용창출 효과와 더불어 지방세수도 159억원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마산시에 앞서 전북 군산시도 현대중공업 본사를 60여차례나 찾아가고 관련부처들을 설득한 끝에 연 매출 3조원 규모의 조선소를 유치한 바 있다. 경기도 파주시 역시 ‘이화 교육연구 복합단지 건립’ 민원에 대해 ‘선 사업승인, 후 행정절차’라는 혁신적 민원처리 방식을 도입해 6시간만에 민원을 처리해줬다. 이처럼 일부 지자체는 주민과 일심합체가 돼 지역살리기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으나 아직도 대다수의 지자체는 중앙정부의 지원만 바라는 식의 관행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참여정부가 추진했던 혁신도시처럼 공기업을 지방에 떠넘긴다고 지역경제가 살아나고 국토균형 개발이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군산이나 마산시의 사례에서 보듯 지역 공무원과 주민들의 사고가 친기업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그것이 공장의 해외 이전을 막는 길이기도 하다.

2008-05-16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