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모래 폭풍 막을 길은 없을까

중국의 모래 폭풍 막을 길은 없을까

강아연 기자
입력 2008-04-24 00:00
업데이트 2008-04-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에서 불어온 황사로 봄마다 우리의 건강과 피부는 한바탕 몸살을 앓아야 한다. 현재진행형인 중국의 사막화는 기후 재앙이 핵위기만큼이나 무서운 결과를 낳을 수도 있음을 경고한다.SBS 스페셜은 27일 ‘모래 폭풍에 갇힌 사람들’(오후 11시15분)에서 중국의 모래폭풍과 대처방안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취재진은 황사 발원지인 네이멍구(內蒙古) 현지를 찾아갔다. 중국 네이멍구자치구 북서쪽에 있는 ‘울라터후치’ 마을은 이미 모래더미에 파묻혔다. 지난해 3월 사상 유례없는 모래폭풍이 불어왔기 때문이다. 순식간에 양 3700여마리가 날아갔고, 집들은 무너져 내렸으며,10㎞가 넘는 도로가 끊겨버렸다. 현지 언론들은 이를 ‘죽음의 모래폭풍(사천바오)’이라 일컬었다. 주민들은 하나둘 고향을 버리고 떠나갔다.

풀 한 포기 보기 힘든 ‘우르치 거우러’ 마을에서 만난 한 가족은 3대째 이곳에서 양을 방목하며 살고 있다. 하지만 매년 수십마리의 양이 모래바람에 사라지고, 살아 있는 양들도 모래 때문에 거의 실명한 상태다. 이들은 “떠나고 싶지만 방법이 없다.”고 호소한다.‘난량타이’ 마을도 코앞까지 다가온 모래사막 때문에 생계를 위협받고 있다. 사막화를 우려한 정부가 4∼5년 전부터 방목을 금지시키고 밭에 나무를 심는 정책을 폈지만, 사막화는 속수무책으로 심각해지고 있다.

현재 중국의 사막은 전 국토의 27%에 달한다. 지금도 매년 서울의 3배가 사막으로 변하고 있다. 무분별한 개발과 방목 때문에 발생하는 사막화는 사실 인재(人災)다. 중국정부는 뒤늦게 목축을 제한하고 그 자리에 주민을 강제 이주시키는 ‘퇴경환림’(退耕還林) 정책을 펴고 있지만, 사막화는 계속해서 빠르게 동진하고 있는 추세다. 사막화에 브레이크를 걸 방안은 없는 것일까.

강아연기자 arete@seoul.co.kr

2008-04-24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