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버려지는 현수막’ 살릴 수는 없을까

‘버려지는 현수막’ 살릴 수는 없을까

류지영 기자
입력 2008-04-14 00:00
업데이트 2008-04-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자체들 장바구니 등 재활용… 정부는 ‘뒷짐’

이번 18대 국회의원 선거를 계기로 지금껏 별다른 대안 없이 버려지던 선거용 폐현수막을 재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선거가 아니더라도 연간 수천t씩 쏟아지는 폐현수막 재활용은 ‘환경’과 ‘경제’를 동시에 살리기 위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미 각 지자체와 기업들이 현수막을 장바구니, 마대, 수해방지용 포대 등 다양한 용도로 만들어 재활용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제품의 다양화를 위해서는 환경부·선거관리위원회 등의 관심이 필요한 게 사실이다. 그럼에도 당국은 “현실적 어려움이 많다.”는 이유로 현수막 재활용에 소극적이다.

이미지 확대
서울 관악봉천자활후견기관 환경개선사업단 직원들이 현수막으로 만든 장바구니와 앞치마 등을 선보였다.이번 총선을 계기로 정부 당국과 지자체가 폐현수막 재활용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서울 관악봉천자활후견기관 환경개선사업단 직원들이 현수막으로 만든 장바구니와 앞치마 등을 선보였다.이번 총선을 계기로 정부 당국과 지자체가 폐현수막 재활용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폐현수막 연간 수천t씩 쏟아져

자원순환사회연대에 따르면 이번 18대 총선 기간 동안 전국 245개 지역구, 1118명의 후보자가 사용한 선거홍보용 현수막은 1만 7000여개로 무게만 해도 22.5t에 이른다.

지난 2006년 치러진 5·31 지방선거의 경우 후보자 1만 967명이 홍보용으로 사용한 현수막이 무려 8만여개(205t)로 현수막 제작비용만도 40억원에 달했다.

또 선거와 관계없이 각 구청이 도로변 불법 현수막 제거 등으로 거두는 폐현수막이 많게는 연간 30∼40t에 이른다. 이를 소각하는 데 드는 비용만 해도 각 구청별로 연간 수백만원이 소요된다.

폐현수막을 재활용하는 것은 소각비용을 줄일 뿐 아니라, 소각과정에서 나오는 다이옥신 등 유독물질 배출도 막을 수 있다.

폐현수막을 가공해 판매, 혹은 배포하는 과정을 통해 ‘사회적 일자리’도 만들 수 있다. 또 선거공영제를 채택한 우리나라에서는 선거 관련 현수막 제작에 세금이 투입되는 만큼 폐현수막 재활용은 국민의 혈세를 아끼는 방법이기도 하다.

인천시 남구는 지난 1월 ‘2008년도 주요업무보고회’에서 “불법 현수막을 태우지 않고 재활용할 경우 다이옥신 방출을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구 차원에서 월간 22만480원의 경제적 이득도 생긴다.”는 연구결과를 보고하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현수막을 재활용해 만든 패션가방 에코파티 메아리 제공
현수막을 재활용해 만든 패션가방
에코파티 메아리 제공


이미 앞치마·장바구니 등으로 활용

이미 현수막은 상당수 지자체·시민단체·기업들에 의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김포시의 경우 2006년부터 불법광고로 수거된 현수막(연간 30t 가량)을 민간단체인 (사)지적장애인복지협회에 위탁해 쓰레기 수거포대, 앞치마, 장바구니 등 다양한 용도로 제작하고 있다. 지난해에도 1만 7000점을 제작해 지역 주민들에게 전달했다.

춘천시도 올해부터 용도가 지나 폐기 처분하던 현수막(연간 1만여장 가량)을 재봉틀 자원봉사자들의 도움을 받아 장바구니로 재활용했다.

울산 북구 또한 지난달부터 불법 현수막을 100ℓ짜리 청소용 마대로 만들어 공용 쓰레기 봉투로 사용하고 있다.

폐현수막 등을 이용해 패션아이템을 창조하는 이른바 ‘에코디자인’업체는 세계적 추세기도 하다.

국내에선 대표적인 곳이 아름다운 가게가 만든 ‘에코파티 메아리’. 디자이너들이 현수막이나 헌옷 등을 활용해 가방, 지갑 등 고급 액세서리를 만드는 데 활용한다. 지난해 판매수입은 2억 1980만원으로 2006년 매출 2240만원에 비해 9배 가까이 성장했다.

현수막 재활용은 긍정적 효과가 크지만 아직까진 폐현수막 수거와 재활용품 수요처 확보 등 걸림돌도 많은 게 사실. 재활용 제품 또한 대부분 장바구니, 포대 등 일부 품목에 국한돼 있다.

당국 의지 미흡… 체계적 재활용을

당국이 나서서 현수막의 체계적 재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하지만 ‘담당자가 자주 바뀐다.’‘현수막 수거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 2006년 5·31 지방선거 당시 선거 관련 현수막을 관할 지자체가 다양한 방법으로 재활용하도록 하는 ‘선거용 현수막 재활용지침’을 발표한 바 있다. 우수 사례를 발굴해 지자체가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홍보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발표된지 2년이 다 돼 가는 지금도 이 지침은 공무원들의 책상 속에서 잠자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그동안 담당자가 여러차례 바뀌면서 당시 실천사항을 일관성있게 추진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일부 지역 선관위 또한 자발적으로 현수막 재활용을 시행하기도 했지만 ‘수거가 어렵고 재활용품의 마땅한 사용처가 없다.’는 이유로 현재는 모두 중단한 상태다.

중앙선관위의 한 관계자는 “현수막 수거에 너무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 환경부·지자체의 협조 없이 하기에는 어려움이 너무 많다.”고 토로했다.

현수막 재활용 사업을 진행 중인 전국녹색가게 김정지현 사무국장은 “지자체나 정부가 폐현수막을 체계적으로 수거해주고 재활용 제품을 이용해 주기만 해도 폐현수막 재활용 제품은 지금보다 훨씬 다양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08-04-14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