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w스쿨 ‘한방의 꿈’ Low학점은 ‘한밤의 꿈’?

Law스쿨 ‘한방의 꿈’ Low학점은 ‘한밤의 꿈’?

이경원 기자
입력 2008-03-25 00:00
업데이트 2008-03-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로스쿨(법학전문대학원) 제도가 도입된다는 교육부 안이 지난해 확정됐을 때 직장인 홍모(33)씨는 ‘만세’를 불렀다. 직장 생활에 염증을 느끼던 홍씨에게 법조인이 될 수 있는 ‘새로운 꿈’이 생겼기 때문이다.“비록 직장생활을 하면서 로스쿨을 준비해야 하는 부담은 있지만 어쨌든 어릴적 꿈을 성취할 기회가 생겼습니다. 열심히 공부해 꼭 성공할 겁니다.”

그러나 홍씨와 같은 직장인 로스쿨 준비생들이 로스쿨 입시에서 ‘노익장’을 과시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애초부터 로스쿨을 준비할 수 있는 대학 재학생들에 비해 시간도 부족할 뿐더러 이미 받아둔 대학 시절의 학점도 재학생들에 비해 낮기 때문이다.

24일 로스쿨 준비생들의 최대 동호회인 서울대 로스쿨 입시연구회, 로스쿨을 준비하는 사람들의 모임, 로스쿨 입시전문 PLS카페 등 3개 단체가 로스쿨 준비생 6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직장인 등 나이 많은 로스쿨 준비생들의 대학 학점은 재학생에 비해 훨씬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의 경우 학점 3.75(A학점) 이상의 고학점자가 57.1%에 달했지만 직장인들은 35.9%에 불과했다. 나이로 따져도 차이는 명확해진다.30세 이하는 학점 3.75 이상이 51.6%나 됐지만 31세 이상은 31.3%에 그쳤다.

일각에서는 학점이 로스쿨 입시에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무시하기엔 아직 이르다. 서울대의 로스쿨 우선선발은 총 300점 만점에 학점이 차지하는 비중이 100점. 로스쿨 적성시험은 80점, 나머지 120점은 영어 점수를 포함한 서류점수다.

특히 일부 지방대도 학점을 높게 책정할 것이란 소문이 나돌면서 직장인들의 고민은 더 깊어지고 있다. 로스쿨 적성시험과 영어 점수는 로스쿨 준비과정에서 만회가 가능하지만 학점은 ‘돌이킬 수 없어’ 이미 대학을 졸업한 ‘고령의 수험생’들은 가슴만 답답할 뿐이다. 결국 홍씨처럼 나이 많은 로스쿨 수험생들의 ‘노익장’의 꿈은 ‘꿈’에 그칠 것이란 자조의 목소리도 나온다.

홍씨는 “로스쿨을 준비하는 직장인들은 학부 시절 사법시험 준비를 하느라 학점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면서 “재학생들은 로스쿨 입시를 처음부터 준비할 수 있어 훨씬 유리하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새사회연대 이창수 대표는 “직장인들 가운데 로스쿨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직업에 대한 불만족 때문에 로스쿨을 그 대안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면서 “로스쿨 입시에 학점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겠지만 직장인 등 고령의 준비생들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08-03-25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