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공직 머슴론’ 시스템으로 정착시켜라

[사설] ‘공직 머슴론’ 시스템으로 정착시켜라

입력 2008-03-12 00:00
업데이트 2008-03-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명박 대통령이 엊그제 기획재정부 업무보고 때 지적한 ‘공직 머슴론’은 백번 옳다. 국민의 공복(公僕)임을 자처하면서도 실제론 어떠했는가. 그들은 국민 위에 군림하면서 일을 하든, 안 하든 월급을 꼬박꼬박 챙겨왔다. 이러는 동안 서민들의 허리는 더 휘었다. 국민의 혈세를 수천억, 수조원 축내도 누구 하나 책임지는 사람이 없었다. 오히려 줄만 잘 대면 승승장구하는 게 비일비재했다. 감사 또는 수사에 걸리면 “재수없다.”는 식으로 넘어갔다. 이처럼 무사안일한 공무원의 기강을 바로잡겠다는 데 이의를 달 사람은 없을 줄로 안다.

역대 정부도 초기에는 공무원들의 기강잡기에 나섰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흐지부지되고 조직의 덩치만 키우는 경우가 많았다.‘작은 정부’는 매번 구두선에 그쳤다. 이명박 정부 역시 같은 우(愚)를 범할 수 있다. 공무원들의 저항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벌써부터 조직적으로 반발할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니 걱정스럽다. 머슴론을 정착시키려면 무엇보다 시스템부터 구축해야 한다.‘국민의 머슴’임을 망각한 공무원을 퇴출시킬 수 있는 제도를 만들라는 얘기다. 그래야만 철밥통을 깰 수 있고, 그들도 주인의식을 갖고 일을 할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공무원들의 복무자세다. 민간기업에서 직원 1명이 할 수 있는 일을 3∼4명이 나눠 일하는 곳도 있다고 한다. 서울시장을 지낸 이 대통령도 이를 잘 알고 있을 터다. 따라서 공직사회를 향해 ‘머슴론’을 강조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은 듯하다.“공직자들의 자세만 달라져도 규제의 50%는 줄일 수 있을 것”이라는 이 대통령의 언급 역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만 초기에 시늉만 내서는 안 될 것이다. 정부는 시스템을 체계화하고 공무원들은 이에 따를 것을 거듭 당부한다.

2008-03-12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