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책을 말한다] 나무와 숲/ 남효창 한국생태교육센터 대표이사

[내 책을 말한다] 나무와 숲/ 남효창 한국생태교육센터 대표이사

입력 2008-03-07 00:00
업데이트 2008-03-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무들의 언어 배워 보실래요?

책을 쓰면서 두렵고 미안한 마음이 드는 건 부족한 내용이나 독자에 대한 비판의 소리가 아니다. 내가 가장 미안한 마음이 많이 가는 대상은 다른 것이 아니다. 매일같이 휴지를 사용해야 하고, 책을 읽고 또 책을 써야 하는 처지에서, 그 몸뚱이를 빌려야 하는 나무이다.

이미지 확대
남효창 한국생태교육센터 대표이사
남효창 한국생태교육센터 대표이사
이 책의 집필 의도는 양귀비의 씨앗이 갖는 의미와 일맥상통한다. 양귀비 씨앗은 적절하게 사용하면 복통을 없애는 훌륭한 약이 되지만, 적절치 못하게 사용하면 아편과 같은 독이 되어 버린다.‘나무’라는 생명체를 물질적 가치로만 바라보는 사람에게는 독이 될 수 있고, 그것을 온전한 한 생명으로 보는 이에게는 훌륭한 ‘생태적 지혜(ecosophia)’의 소산이 될 것이다.

나무는 산소호흡을 하는 지상의 모든 생명체들의 원천이다. 지난 3억 5000만년 동안 지구에 산소를 만들어, 호모사피엔스(Homo sapiens)라는 생명을 탄생시켰다. 대략 4만년 전 출현한 호모사피엔스는 지금으로부터 약 160년 전, 산업혁명이라는 큰 변화를 거치면서 크게 두 부류의 변종으로 진화하게 된다. 하나는 오로지 물질에만 생존의 의미를 두고 있는 호모 에코노미쿠스(Homo economicus)와 그것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개발과 파괴에 혈안이 되어 있는 호모 디스투어반스(Homo disturbans)이다. 또 다른 변종으로는 살아 있는 모든 생명에 대한 애정과 사랑을 느끼며 더불어 살아야 한다는 호모 아만스(Homo amans)와 존재의 진정한 기쁨을 찾으려 하는 호모 루덴스(Homo ludens)이다. 대부분의 도시인들은 지나칠 정도로 생태적 빈곤에 허덕이며 살아간다. 어느 시인의 시구처럼 ‘모두가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다’면 참으로 무서운 일이 아닐 수 없다.‘나무와 숲’을 통해 나무와 숲에 관한 지식을 나누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나무들의 언어를 익히고 그들과 진정한 대화를 나누고자 함이다.

제1부에서는 나무와 숲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았고, 제2부에서는 이 땅에 살아가는 나무들에 대한 구체적 접근 방법과 식별법을 논하였으며, 어떻게 나무에게 다가가야 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어떤 나무가 어디에 속하는지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계통도와 각각의 나무를 식별할 수 있는 검색표가 그것이다. 무엇보다도 부록에서는 8가지의 검색열쇠를 제시해서 나무의 잎과 열매만 가지고도 어떤 나무인지 알아낼 수 있게 시도했다.

호흡을 가다듬고 자연을 즐길 준비가 된 이들에게는 부록 ‘주머니속 검색표’가 나무와 가까워지는 훌륭한 도구가 되리라 믿는다. 환경과 생태의 역습 앞에 나무가 전하는 절박한 언어에 귀를 함께 기울였으면 하는 간절한 마음이 독자와 함께 통했으면 한다.

남효창 한국생태교육센터 대표이사
2008-03-07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