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 인맥 열전] (23) 정보통신부

[공직 인맥 열전] (23) 정보통신부

김효섭 기자
입력 2008-01-08 00:00
업데이트 2008-01-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IT강국 주도한 실력파 ‘즐비’

청와대와 인접한 세종로변 정보통신부의 요즘 분위기는 뒤숭숭하다. 새 정부 출범 뒤 조직이 축소되기 때문이다. 한때 우리나라의 정보기술(IT)을 세계에 과시한 주역으로 꼽혔던 것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정통부에는 다른 부처에 있는 ‘라인’을 찾는 게 상대적으로 쉽지 않은 편이다. 생긴 지 만 14년밖에 안 된 ‘신생’부처라는 점에서다. 신생조직이다 보니 외부에서 장관이 영입될 수밖에 없었다. 정통부 출범 당시에는 옛 경제기획원(EPB) 출신들이 실·국장을 맡는 등 주력부대였다. 이석채·안병엽·노준형 전 장관과 유영환 현 장관은 EPB 출신이다.

이미지 확대


외부수혈 ‘CEO장관´ 많아

배순훈(대우전자 회장), 남궁석(삼성SDS 사장), 양승택(한국통신기술사장), 이상철(KT 사장), 진대제(삼성전자 디지털미디어총괄사장) 전 장관은 최고경영자(CEO) 출신이다.

유필계 정책홍보관리본부장은 IT839정책의 설계자로 알려져 있다.2003년 전파방송관리국장 시절 당시 기획관리실장이던 노준형 전 장관, 정보통신정책국장이던 유영환 현 장관 등과 함께 IT신성장동력 정책을 담당했다. 강대영 미래정보전략본부장은 통신관련 정책에 강하다. 그는 지난해 통신전파방송정책본부장으로 통신규제로드맵을 만들었다. 규제로드맵에는 SK텔레콤과 KT 등 지배적사업자의 결합상품허용, 단말기 보조금 규제완화 등이 들어 있다.

정경원 우정사업본부장은 비교적 여러 업무에 밝은 편이다. 특히 2002년 정보화기획실의 정보기반심의관을 지내면서 전자정부 구축 등 국가정보화 사업과 초고속망을 일궈냈다는 평을 듣는다. 이기주 통신전파방송정책본부장은 ‘통방융합의 전문가’로 통한다. 정통부가 2005년 비공식으로 준비했던 통방융합 태스크포스(TF) 팀장도 맡았다. 전문성도 갖췄고 후배들도 잘 챙긴다는 평가를 받는다.

u-로봇 등 정통부의 로봇산업을 책임지는 설정선 정보통신정책본부장은 마당발로 통한다. 송유종 전파방송기획단장은 과장급에 이어 본부장급에서도 동기들보다 2∼3년 빠른 초고속 승진을 하고 있다. 그는 출세길로 통하는 IT839 멤버다.2003년 정책총괄과장으로 있으면서 실무를 담당했다.

서병조 정보보호기획단장은 주민등록 대체 수단인 아이핀(i-PIN)을 도입했지만 아직 활성화되지는 않았다. 임차식 소프트웨어진흥단장은 고위공무원단 중 유일한 기술고시 출신이다.2005년 정부통합전산센터 초대 소장을 맡는 등 전산망, 전산센터 업무에 밝다. 인수위에 파견된 형태근 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은 최경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경제2분과 간사와 고등학교 동기다. 그래서 인수위에 파견되기 전부터 말도 적지않았다. 그는 소신이 너무 강해 고집불통으로 알려져 있을 정도다.

IT839멤버 고속 승진

과장급에선 김준상 정책홍보관리본부 혁신기획관, 이상진 미래전략본부 기획총괄팀장, 한국정보사회진흥원에 파견나간 양환정 전 통신방송정책총괄팀장 등이 눈에 띈다. 김 혁신기획관은 2005년부터 방송위성과 과장·팀장을 거치면서 지상파DMB 등 디지털방송과 인연이 깊다. 이 팀장은 2003년엔 행정고시 25회가 주요과장을 맡을 당시에 행시 32회이면서도 주요과장으로 꼽히는 소프트웨어진흥과장을 맡을 정도로 업무추진력에서 평가를 받는다.

양 전 팀장은 2005년부터 통신이용제도과장, 통신방송정책총괄팀장을 맡으면서 휴대전화, 통방융합 등 정통부의 모든 핵심업무를 두루 담당했다. 법무담당관이던 지난 2004년에는 직장협의회에서 꼽은 ‘베스트 과장’에 꼽히기도 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08-01-08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