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새 정부와 서울신문의 진로/황용석 건국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옴부즈맨 칼럼] 새 정부와 서울신문의 진로/황용석 건국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입력 2008-01-02 00:00
업데이트 2008-01-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8년 새해가 밝았다. 앞으로 5년 동안 한국을 이끌어나갈 새 대통령으로 이명박 당선인이 선출되었다. 김대중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이 이끈 10년 동안의 진보정권이 보수정권으로 교체된 것이다.

이명박 당선인이 선출되는 순간부터, 신문과 방송은 변화의 방향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 어느 선거보다 후보자를 둘러싼 갈등이 심각했고 언론의 추적보도도 많았던 것에 비해, 선거 후 권력이 바뀐 세상을 다루는 언론의 ‘미래지향적’인 보도는 많은 사람들을 어색하게 한다. 정치권력의 전환기에 나타나는 언론의 일방적 보도관행은 우리 언론계의 일종의 관행인 것 같다. 관행은 문화나 습관이지 그 자체가 바람직한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선거당일 당선인를 소개하는 방송사의 다큐영상은 다소 낮 뜨겁기까지 했다. 선거 다음날 언론들은 약속이나 한 듯 새 정부의 실세그룹 즉, 이명박 당선인의 인맥을 들추는 것에서 출발했다. 이명박 정부의 정책전망 역시 선거공약개발에 참여한 자문교수나 전문가 인터뷰기사로 쏟아 내고 있다. 설익거나 합의되지 않은 정책도 검증없이 보도된다.

신문별로 누구를 인터뷰했는가에 따라 그 뉘앙스가 조금씩 다르다. 벌써 부동산 세금과 관련해서 앞서나간 인터뷰 내용들이 시장에 부작용을 낳고 있다. 시민이나 시민단체, 그리고 정권 견제자의 목소리를 찾기는 힘들다. 우리 언론은 권력 변화에 민감하고 그 권력의 한 축이기를 원하고 있는 것 같다.

이제 서울신문 이야기를 해보자. 서울신문은 많은 전문가들로부터 기사 품질에 비해 시장에서 저평가된 신문으로 꼽힌다. 이 신문은 독특한 소유구조를 갖고 있다.1904년에 창간된 한말의 대표적 민족지 대한매일신보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상당기간 정부 및 정부관련 기관이 최대주주였기에 서울신문은 오랫동안 자기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 그러나 김대중정부 시절인 2002년 1월 서울신문은 내부구성원들의 노력에 힘입어 민영화되었다. 현재 서울신문의 최대주주는 우리사주조합(39%)이다. 뒤이어 재정경제부 30.49%, 포스코 19.4%,KBS 8.08% 등으로 주식지분이 구성되어 있다. 여전히 정부 소유지분이 남아 있지만, 독립언론으로서 서울신문의 위상을 의심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서울신문은 김대중정부 이후 ‘중도적 진보’ 매체로 자리매김해 왔다. 그러나 이제 새 정부가 들어선다. 이른바 ‘실용적 보수정부’이다. 과연 서울신문은 지난 10년의 논조를 이어갈 것인가?

서울신문이 보수지이든 진보지이든 그것은 두 번째 중요한 문제이다. 신문은 원래 정파적 매체이기에 의견의 자유가 최대한 보장된다. 그렇기에 신문시장은 사상의 자유공개시장이라 불린다. 정향성은 신문 종사자들과 독자들의 선택의 문제이지 그 자체가 옳고그름의 절대기준은 아니다. 문제는 그 선택이 정권의 정향성이나 소유자의 입장과 상관성을 보이는가의 문제이다. 언론의 존재근거는 독립성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정치로부터 언론이 독립함으로부터 신문산업이 꽃을 피웠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정권의 정향에 따라 신문보도가 급격히 바뀐다면 이전의 언론행위에 대한 신뢰도 의심받는다.

새 정부의 등장은 서울신문에 많은 고민을 던질 것 같다. 여전히 정부가 대주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울신문 구성원들이 그동안 보여 왔던 변화의 몸부림은 이 신문이 어떤 정치권력이든지 간에 언론으로서 건전한 감시자이자 견제자 역할을 다할 것이라는 믿음을 준다. 또한 서울신문이 관심 가져온 소수자나 약자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계속될 것을 기대한다. 아울러 그 같은 실천의 해답은 언론의 독립성과 공정성이라는 보편적 키워드에 있음을 강조하고 싶다.

황용석 건국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2008-01-02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