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영화] 잉마르 베리만 특선-산딸기

[일요영화] 잉마르 베리만 특선-산딸기

강아연 기자
입력 2007-11-10 00:00
업데이트 2007-11-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잉마르 베리만 특선-산딸기(KBS 명화극장 밤 12시50분) 지난 7월 타계한 스웨덴 출신 명감독 잉마르 베리만의 ‘산딸기’(1957)가 안방극장을 찾는다.‘산딸기’는 베리만의 전성기라 할 수 있는 1950년대 작품으로 “초현실적인 그의 영화세계를 극명하게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야기는 주인공 이삭이 명예학위를 받기 위해 룬드로 여행을 떠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삭의 며느리 마리안이 여정을 함께하게 되는데 그녀는 남편과의 갈등으로 잠시 떨어져 이 집에 머물고 있던 참이었다.

여행 도중 이삭은 우연히 세 명의 젊은이와 동행하게 되고, 이 중 자신이 사랑했던 여자와 이름이 같은 사라를 만나면서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게 된다. 지난날을 떠올리는 과정에서 이삭은 자신이 예전에는 미처 알지 못했던 소중한 것들을 많이 깨닫게 된다.

여기서 드러나듯 이 영화는 로드무비다. 하지만 로드무비이긴 하되,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가는 물리적 행선과 꿈·현실, 과거·현재를 넘나드는 4차원적 행로가 함께 엮인다. 베리만은 이처럼 환상과 현실, 시간과 공간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면서 초현실주의적 모티브를 성공적으로 표현해낸다. 이같은 영화적 실험을 위해 플래시백 효과(과거회상 기법)를 적극 구사하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1945년 ‘위기’라는 작품으로 데뷔한 잉마르 베리만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자아성찰적 물음을 누구보다 깊이있게 통찰한 감독으로 평가받는다. 이처럼 끊임없이 영상철학을 펼친 그를 두고 사람들은 ‘현대 예술영화의 거장’으로 부르길 주저하지 않는다.‘한여름밤의 미소’‘제7의 봉인’‘처녀의 샘’ 등 전 생애를 통해 그가 남긴 영화는 60여편에 이른다.

계속해서 과거로 도망치던 ‘산딸기’의 이삭이 여행의 끝에서 만나게 된 것은 바로 죽은 자신이었다.

베리만은 이같은 결말을 통해 죽음에 대해 극도의 두려움을 안고 있는 인간, 그리고 이를 구원해줄 수 없는 신의 무기력함에 대해 설파한다. 신도 인간도 죽은 자리에 잉마르 베리만의 영화만이 살아남은 것이다.

강아연기자 arete@seoul.co.kr

2007-11-10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