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1번국도’ 미술언어로 기록

‘경기, 1번국도’ 미술언어로 기록

윤창수 기자
입력 2007-11-06 00:00
업데이트 2007-11-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번 국도는 전남 목포에서 평북 신의주에 이른다. 일제강점기에 건설되기 시작한 1번 국도는 20세기를 가로지르는 한반도 문화·경제의 실크로드였으며, 근대화의 산실로 자리매김해왔다. 경기도에서 1번 국도는 평택·오산·수원·의왕에 걸쳐 있으며, 서울을 경유해 휴전선 앞에 선다. 철책선과 임진강을 건너면 길은 개성으로 연결되고 신의주에 도착한다.

이미지 확대
고승현의 作‘길’
고승현의 作‘길’
한반도 한 세기의 역사가 고스란히 묻어 있는 1번 국도를 주제로 한 전시가 열려 눈길을 끈다. 안산시에 위치한 경기도미술관(관장 김홍희)이 개관 1주년을 맞아 마련했다.

내년 1월23일까지 열리는 ‘경기,1번 국도’전은 이반, 임옥상, 민정기 등 50여명의 작가가 회화, 설치, 조각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으로 참여했다. 일본, 독일, 팔레스타인 작가들도 설치작품 등을 전시한다.

경기 북부 소재의 간이역과 폐군기지, 경기 남부의 대추리 등 마을은 미술 작품 속에서 섬으로 상징화됐다. 이종구는 대추리 사람들의 액자 유리가 깨진 가족사진으로 이주와 평화의 메시지를 시각화한다.

분단으로 자연 생태계의 보고가 된 비무장지대(DMZ)는 숲으로 상징화됐다. 고승현의 작품 ‘길’은 끊긴 1번국도의 복원이 통일과 대륙 실크로드의 새로운 시작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독일작가 그룹 MSK7은 분단 외교의 상징으로 자주 등장하는 탁구 경기를 ‘핑퐁-동서남북’이란 작품을 통해 보여준다.

전시 전부터 6개의 프로젝트가 진행됐다. 이 가운데는 작가 전원길, 최예문의 평화의 조각보 프로젝트도 있다.3000명이 참여해 직접 이은 보자기를 볼 수 있다.

노재철은 경기 북부 일대의 간이역을 답사한 자료를, 김을과 김태헌은 1번 국도를 따라 화첩기행을 떠나서 기록한 작품을 전시한다.

도시화와 산업화, 분단과 통일, 생태와 평화의 현장인 1번 국도에서 다양한 상징성을 읽어낸 이번 전시는 경기도 미술관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자리기이기도 하다.(031)481-7042.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07-11-06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