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늙는다는 것/이목희 논설위원

[길섶에서] 늙는다는 것/이목희 논설위원

이목희 기자
입력 2007-11-02 00:00
업데이트 2007-11-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천명(知天命) 전후의 친구 몇명과 스스로가 느끼는 늙음을 얘기했다. 흰머리가 생기고, 눈이 침침해지고, 무릎이 시큰거리고, 치아가 부실해지고, 기력이 떨어지고, 피부가 푸석해지고, 잠이 없어지고, 뽕짝이 좋아지고…. 아무 것도 아닌 일에 짠해지는 기분이 늙음의 표시라는 친구도 있었다. 그러다 참석자들이 박수친 답이 나왔다.“20,30대 여성이 모두 예뻐 보일 때.”

노년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진정으로 바라는 것은 뭘까.20,30대의 젊음을 오래 연장하고 싶은 게 인지상정이고, 그래서 그 연배가 아름답게 보이는 것은 아닐까. 여성쪽도 마찬가지라고 본다.20,30대 남성이 파릇파릇하게 느껴지면 “나도 늙어가는구나.”라고 자인해야 할 것이다.

의학자 조레스 메드베데프는 노화의 원인을 설명하는 생물학 이론이 무려 300개가 넘는다고 밝혔다. 노화를 막는 연구도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자연스러운 늙음을 너무 억제할 필요는 없다. 모든 여성이 예뻐 보이는 것을 포함, 신이 주는 늙음의 기쁨 또한 만만찮기 때문이다.

이목희 논설위원 mhlee@seoul.co.kr
2007-11-02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