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는 남편 아닌 정치를 사랑했다”

“힐러리는 남편 아닌 정치를 사랑했다”

김성수 기자
입력 2007-10-17 00:00
업데이트 2007-10-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각이 따르지 않는 감정이란 나에겐 늘 하찮은 것이었다.”

이미지 확대
힐러리 클린턴(60) 미 민주당 상원의원이 대학시절 한 친구에게 보낸 글이다. 뉴스위크 최신호에 따르면 힐러리는 감정에 좀처럼 굴복하지 않는 인물이다.

전기 작가 샐리 베델 스미스가 신간 ‘정치 사랑을 위하여(For Love of Politics)’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책은 힐러리의 퍼스트 레이디 시절의 결혼생활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스미스는 다이애나 비와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의 결혼생활도 책으로 냈었다.

스미스는 힐러리를 감정보다는 목표를 중시하는 정치적 성격의 소유자로 평가한다. 그래서 배우자에 대해서도 감정에 좌우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힐러리는 남편인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모니카 르윈스키와의 섹스 스캔들에 휘말린 것을 알아챘을 때도 클린턴이 그런 ‘미친’ 짓을 했으리라는 걸 마음으로는 인정하지 못했다. 때문에 그가 르윈스키와의 관계를 시인하는 TV 연설을 할 때도 미소를 머금은 채 백악관 직원들을 격려했다고 책은 전했다.

백악관 재임 시절 힐러리는 최종 결정권을 지닌 실권자라는 의미에서 ‘대법원’으로 불렸으며 오로지 공적인 여성이기만을 바랐다고 책은 소개했다.

또 르윈스키 스캔들로 어린 시절 마음 고생을 해야 했던 딸 첼시도 친구들에게 “감정은 합리적이지 못하다.”고 말할 정도로 어머니 힐러리를 닮으려 애썼다고 전했다.

‘감정을 위해 목표를 양보하지 않는다.’는 힐러리의 규칙은 이제까지 대선운동에서 훌륭하게 적용돼 왔다. 하지만 앞으로는 비합리가 무엇보다 중요할 수도 있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당장 루돌프 줄리아니 전 뉴욕시장이 내년 대선의 공화당 후보가 될 경우 힐러리는 9·11참사와 맞섰던 줄리아니의 열정적인 이미지와 맞서 싸워야 하지만 이를 극복하기가 간단치 않을 것이라고 책은 분석했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2007-10-17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