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국제영화제] 강한 그녀에 매료되다

[부산국제영화제] 강한 그녀에 매료되다

박상숙 기자
입력 2007-10-06 00:00
업데이트 2007-10-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추석 연휴 남자들의 눈물이 극장가를 적시더니 10월 들어 강한 여자들의 유혹이 시작됐다. 자기 나라 대통령을 부끄럽다고 공개적으로 비판한 미국 컨트리 그룹 딕시 칙스, 애인을 잃고 난 뒤 사회 정의를 위해 총을 든 라디오 진행자 에리카 베인이 섬세한 근육을 뽐내는 이들이다.
이미지 확대


닥치고 노래나 하라고? 그렇겐 못해!

우리에겐 낯설지만 딕시 칙스는 미국에서 가장 성공했다는 평을 듣는 3인조 여성 컨트리 그룹. 미국의 대 이라크 전쟁이 터진 2003년, 이들은 AP나 AFP 등 외신에서 심심찮게 뉴스거리가 됐다. 부시 미국 대통령을 비판하는 가수들을 언급할 때마다 항상 이들의 이름이 올랐던 것.

대표적인 저항음악인 록이나 랩도 아닌 우리나라로 치자면 ‘흙에서 살리라’ 같은 한가한 노랫말을 읊조리는 컨트리 그룹이 부시 비판이라니. 당시 고개를 갸우뚱했던 당신의 궁금증을 풀어줄 음악다큐멘터리 ‘딕시 앤 칙스:셧 업 앤 싱’이 지난 3일부터 서울 명동 중앙시네마로 자리를 옮긴 스폰지하우스에서 상영 중이다.

‘셧업 앤 싱(shut up and sing)’은 영화 속에서 라디오 DJ가 “이제 그만 닥치고 노래만 했으면 좋겠어요.”하는 데서 따온 것이다. 이들의 가시밭길은 이라크전 발발 직후 런던에서 열린 콘서트에서 메인 보컬 나탈리 메인스가 “부시 대통령이 텍사스 출신인 게 부끄럽다.”고 발언한 데서 시작된다. 당시 부시의 인기는 하늘을 찌를 듯했고 표현의 자유가 가장 너그럽다는 미국에서 그 파장은 심각했다.
이미지 확대


기의 상황에서 서로를 위로하는 멤버들의 우정과 스태프들이 나누는 사랑은 흐뭇한 광경이다.12세 관람가.

죄보다 미운 건 사람…그에게 총을 겨누다

지적인 여배우 조디 포스터 주연의 ‘브레이브 원’은 ‘죄는 미워하되 인간은 미워할 수 없다.’는 명제를 정면으로 부인하는 영화다. 대신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는 속설을 용감하게 행동으로 옮기는 여성의 이야기다.

길거리 불량배들의 잔인한 폭력에 애인을 잃고 겨우 목숨을 부지한 에리카 베인(조디 포스터). 얼마 전까지만 해도 그녀는 일상에서 걷어올린 소리와 함께 뉴욕 곳곳의 아름다움을 전하는 라디오 진행자였다. 애인이 저세상으로 간 지도 모른 채 사경을 헤매다 3주 만에 깨어난 에리카의 육체와 정신은 모두 만신창이.

이제 어둡고 비열한 도시의 이면에 새롭게 눈을 뜨게 된 그녀는 복수를 위해 직접 총을 든다. 그리고 법망의 사각지대를 활보하는 범죄자들을 하나씩 처단하기 시작한다. 영화는 악인은 죽어 마땅한가라는 도덕적 딜레마에 빠지게 한다. 하지만 한편으론 통쾌함을 던져 준다. 이는 전적으로 조디 포스터의 열연 덕이다.

에리카를 쫓으면서 지지하는 형사 숀 머서(테렌스 하워드)처럼 어쩔 수 없이 에리카의 손을 들어주게 된다.‘크라잉게임’‘뱀파이어와의 인터뷰’로 유명한 닐 조던 감독의 작품이다.11일 개봉,15세 관람가.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2007-10-06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