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남북정상회담] <기고>그렇게 새 역사가 씌어졌다

[2007 남북정상회담] <기고>그렇게 새 역사가 씌어졌다

입력 2007-10-03 00:00
업데이트 2007-10-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벤트다. 금단의 군사분계선을 넘음은 분명한 정치적 이벤트다. 통속적 명칭으로는 이벤트지만,‘정치적 의례’다. 금단과 금기를 넘어섬은 일종의 통과의례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어떤 의례도 격식과 절차가 필요하고, 종교적인 환상 같은 그 무엇도 필요한 법이다.

그동안 비행기, 배, 자동차, 철도 모두가 오고갔다고 해도 사람이 직접 걸어서 가는 것만 못하다. 도보로 분계선을 넘어갔음은 금단과 금기의 마지막 선이 무너졌음을 뜻한다. 노무현 대통령은 그 마지막 선이 사라졌음을 내외에 천명한 셈이다.

군사분계선은 1953년 7월27일에 성립한 ‘한국군사정전에 관한 협정’에 규정된 관념적 경계선일 뿐이다. 한갓 관념의 선에 불과하던 분계선이 강철처럼 굳어지자, 이 금단의 선을 넘음은 죽음 그 자체를 의미했다. 남북을 오고간 무수한 시대의 ‘간첩’들이, 자유라는 이름으로 ‘월남’과 ‘월북’의 경계선을 오고간 이들이 탄생했다. 분계선을 ‘월북’하고,‘월남’함으로써 이에 연루된 수많은 이산가족들이 민족 최대의 디아스포라를 겪으면서 반세기 이상을 고통으로 채워왔다.

노무현 대통령이 군사분계선을 넘었음은 분명히 ‘대통령의 월북’이다. 대통령은 국가원수이자 두말할 것 없이 군통수권자이다. 군통수권자가 군사분계선을 걸어넘었음은 강철같은 분계선이 그 순간 무너져 내렸음을 상징시켜주는 극적인 행위다.

군통수권자가 분계선을 걸어넘음으로써,155마일 철책선과 남북을 겨눈 벙커의 총부리들이 서로를 겨눌 명분 자체가 무색하게 된 것이다.

개인적인 호불호를 떠나 대통령제에서의 대통령의 행위는 헌법적 행위다. 휴전협정의 상징인 군사분계선을 대통령이 걸어서 넘었음은 단순한 도보여행이 아니다. 걸어서 선을 넘는 과정을 전세계의 언론이 생중계함으로써 유일한 분단국 한반도에서 분단선을 없애겠다는 의지가 각인됐다. 철책선 대신 평화선 선택이라는 고도의 전략적 사고가 만천하에 새겨진 것이다.

이미지 확대
이제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걸어서 ‘월북’하고 ‘월남’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장벽은 무너질 것입니다.”라는 대통령의 대국민 메시지처럼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다녀오게 될 것이다. 좀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월북’‘월남’ 자체가 옛말 사전으로 밀려나리라. 분계선의 존재자체가 의미없는 것이 되었으니 월북이나 월남이라는 말 자체가 이미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 김대중 대통령의 방북으로부터 7년, 분계선이 그어진 시점으로부터는 무려 54년 만의 일이다. 그러나 정작 넘는데는 찰나의 시간이 걸렸을 뿐. 고통과 압박, 숨죽임과 억누름이 반세기 이상을 흘렀지만 이를 깨는 시간은 찰나에 불과했다. 문득 깨닫고 보니 그 찰나의 순간이 바로 54년이었다.

백범 김구선생이 1948년 금단의 선을 넘어갔다. 금단의 열매를 딴 정치적 죄로 그는 암살을 당했다. 그로부터 59년, 전세계가 지켜보는 가운데 국군최고통수권자가 걸어서, 당당히 금단의 선을 넘었다. 역사는 민족의 지난한 고통속에 이뤄진 2007년 10월2일 오전 9시5분의 찰나를 결코 잊지 못할 것이다.2007년 10월2일 아침, 그렇게 한민족의 새 역사가 군사분계선 위에 씌어진 것이다.

주강현 제주대 초빙교수·통일문화학회 공동대표
2007-10-03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