쿵칭둥 著 ‘한국 쾌담’

쿵칭둥 著 ‘한국 쾌담’

윤창수 기자
입력 2007-09-07 00:00
업데이트 2007-09-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하는 것은 개인뿐 아니라 국가차원에서도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이미지 확대
외국 언론이 우리를 어떻게 보도했는지 늘 궁금해하고, 비판에는 얼굴 가득 서릿발을 세우는 우리에게 ‘한국 쾌담(쿵칭둥 지음, 김태성 옮김, 올림 펴냄)’은 웃음과 함께 얼마간의 분노도 자아내는 책이다.

톈안먼 사태 당시 학생회장을 지낸 저자는 베이징대 10대 우수교수 가운데서도 최고로 뽑히기도 했다. 하지만 잡역부같은 몰골과 꽤죄죄한 옷차림 때문에 그의 수업엔 들어가려하지 않는 학생들도 많았다.

‘한국 쾌담’은 저자가 이화여대에서 2000년부터 2년동안 교환교수로 가르친 경험을 토대로 쓴 책이다. 비판과 풍자가 가득하다. 한국인으로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부분도 적지 않다. 하지만 쿵칭둥(43)의 기본적인 생각의 틀은 ‘귀여운 한국 사람들!’이다. 그렇기에 책을 덮고 나면 유익한 생각거리들이 생긴다.

저자는 6·25전쟁을 어떻게 볼까. 한마디로 중국인의 견해를 대변한다. 남침이냐, 북침이냐에 관해서는 6·25전쟁이 ‘내전’이기 때문에 절대 ‘침략’이라 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6·25이전 남한과 북한 사이에는 무수한 군사적 충돌이 있었고, 북한이 남한을 범한 게 수백번이었다면 남한이 북한을 범한 사례는 천번이 넘는다는 것.

6·25전쟁에 관한 저자의 견해는 사뭇 도발적이다. 책에 따르면 김일성은 남북 단일총선을 제안한 반면, 이승만은 ‘무력을 이용한 북진’과 ‘군사적 방법을 통한 통일’을 주장했다. 또 김구 선생의 명망을 시기해 암살한 이승만은 전쟁을 발동해야만 정치생명을 위한 새 기회를 만들 수 있었고, 광복 이후 남한의 군사력은 북한을 압도했다는 것이다.

서울의 중국어 표기와 관련, 저자는 ‘서우얼’은 중국인들에게 ‘얼굴이 검은 사람’,‘써워얼’은 ‘비밀 색정의 장소’로 해석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때문에 한국과 중국 정부의 발표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한성’으로 하는 것이 한국 문화의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한다.‘Korea’도 ‘대한민국’이 아니라 ‘커리야(喀利亞)’로 이름을 바꾸는 것이 어떠냐고 제안한다.

책에는 성형수술 때문에 한국에 진짜 미인이 없다거나, 한국사람들이 시간과 약속을 잘 지키지 않는다거나, 중국인의 10배에 이르는 한국인의 애국심이 때로 이익보다 폐단을 더 많이 낳는다는 등의 쓴소리도 실려 있다.

저자가 한국에서의 가장 큰 보람으로 꼽는 것은 중국에선 ‘소년 강태공’이라 불리는 이창호와 대국을 벌인 일. 물론 여섯 점을 깔고서도 졌다.

한국의 중국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중국인이 한국에 관해 쓴 책은 숫자도 적고, 학생들의 감상기나 여행기처럼 견문록에 그치는 것이 대부분이다.‘퇴마록’‘국화꽃향기’부터 ‘토끼전’‘조선왕조실록’까지 섭렵한 저자의 도발적 한국론은 가시가 들어있지만 한번 귀기울여볼 만한 ‘농담’이다.1만원.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07-09-07 2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