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두식의 루어낚시 따라잡기] 경기도 평택시 평택호

[홍두식의 루어낚시 따라잡기] 경기도 평택시 평택호

입력 2007-09-06 00:00
업데이트 2007-09-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누구나 낚시를 하면서 생각하는 것이지만, 자신이 캐스팅한 지점에 배스가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가진 사람은 없다. 하지만 수몰나무나 수초, 부유물이 잠긴 곳 등의 스트럭처가 산재된 호수라면 얘기가 다르다.
이미지 확대


경기도 평택시에 자리한 평택호의 경우는 초보자도 쉽게 포인트를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스트럭처들이 즐비하게 산재한다. 겉으로 수초가 솟아나지 않은 오픈워터 지역은 톱워터나 플로팅 플러그 종류로 취식시간대를 노리는 것이 좋다. 활발하게 먹이활동을 하는 시간 이외에는 쉽게 눈에 띄는 연안 끝의 나무가 잠긴 곳이나 수초밭, 장애물 등이 있는 곳이면 무조건 배스가 있다고 봐도 좋다.

넓은 호수지형에서는 채비나 테크닉보다 배스가 어디에 있을지 분석해 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현재 평택호의 물색은 조금 탁한 편. 빗물이 내려와 흙탕물이 된 곳도 산소가 풍부하고 커버(장애물)가 있다면 평평한 지형이라도 하루종일 배스가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런 곳에 있는 배스는 경계심이 매우 높아 세심한 캐스팅이 요구된다. 주변 환경의 미세한 변화에 즉각 반응하기도 하는데, 새물 유입구처럼 주변 온도보다 약간 낮은 곳은 그렇지 않은 곳의 배스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활성도를 보여 준다.

각종 부유물로 더러워진 곳 또한 배스에게는 훌륭한 은신처다. 햇빛이 깊게 투과되지 않는 점이 배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이다. 얕은 곳의 수초지대와 육초나 잔나무가 물에 잠긴 곳 등은 베이트피시가 활발한 먹이활동을 하는 곳. 배스들이 이른 새벽과 일몰 후, 그리고 한밤 중에 기습적으로 먹이활동을 하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수초가 두껍게 덮여 있는 곳 또한 낮은 온도와 풍부한 용존 산소가 있어 배스들이 좋아하는 포인트다. 얕은 곳에서 높은 수온에 오래 노출된 배스들은 장애물에 바짝 붙어 있는 경향이 강하다. 활성도가 뚝 떨어진 배스라도 육식 어류의 습성상 자기 자신을 철저히 숨기려는 본능이 있기 때문이다.

갖가지 장애물들은 수몰나무, 수초지대 등에 많이 붙어 있다. 사방이 은폐된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던 배스에게 루어의 갑작스러운 출현은 그만큼 히트 확률을 높여 준다. 배스는 자기 자신을 숨기는 매복작전을 통해 사냥하는 게릴라 습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좋은 포인트를 선택한 경우라도 루어의 착수음과 접근 시 소음을 줄이는 등 배스의 신경을 거스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은 물론이다.

(사)한국스포츠피싱협회 홍보이사
2007-09-06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