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제노포비아/육철수 논설위원

[씨줄날줄] 제노포비아/육철수 논설위원

육철수 기자
입력 2007-08-28 00:00
업데이트 2007-08-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약자에 대한 강자의 공격본성과 강대국의 약소국 침략야욕은 명색이 법치와 문명시대에도 별반 달라진 게 없다. 고도의 이성이 인류발전을 주도한다지만, 이 시대에도 국가간 크고 작은 전쟁과 민족분쟁·인종차별이 끊이지 않는 걸 보면서 인간의 이성에 종종 회의를 느낀다. 결국 인간사회도 동물의 세계처럼 약육강식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는 걸까. 그렇다면 ‘만물의 영장’이나 ‘이성적 동물’란 말은 인간이 동물에 대해 갖는 한낱 우월적이고 오만한 수사에 불과한 것 아닌가.

21세기 첨단과학은 지구촌을 눈깜짝할 사이에 하나로 엮을 수 있다. 국가와 인종과 민족의 개념보다 ‘세계인’ ‘세계화’의 개념이 힘을 얻어가는 추세도 그 때문이다. 하지만 자주 만나고 가까울수록 갈등과 증오는 더 커지는 탓일까. 이민족 타문화에 대한 배타성은 이런 시대에도 식을 줄 모르니 참으로 답답하다.

‘유럽 인종주의와 외국인 혐오 감시센터’(EUMC)에 따르면 2003년 기준으로 이른바 신사의 나라인 영국에서 제노포비아(Xenophobia, 외국인혐오증) 관련 범죄가 5만여건 일어났단다. 경제대국 3∼4위를 다투는 독일에서는 1만 2000건이 발생했다. 미국에서 일어난 증오범죄의 절반이 인종갈등에 기인한다는 통계도 있다. 겉으로 점잖고 선진국입네 하는 나라에서조차 비인간적인 범죄가 횡행하니 이민족 타문화에 대한 이해나 배려는 여전히 말만 요란할 뿐이다.

최근 러시아·독일 등에서 스킨헤드(Skin head)와 극우민족주의자들의 준동이 또 심상치 않다고 한다. 외국인에 대한 소규모 폭력에서 이제는 조직폭력의 양상을 띤다고 한다. 그래서 이 기회에 이들과 연계된 극우정당을 불법화하자는 주장도 나온단다. 하지만 남의 나라를 험담하기에 앞서 국내로 눈을 돌려 보자. 우리나라에도 이젠 연간 외국인 관광객 600만명, 상주 외국인 100만명 시대가 열렸다. 이 중에 이주노동자가 40만명, 불법체류자가 22만명에 이른다. 문제는 우리 역시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인권유린이나 제노포비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이다.“때리는 사장님이 무섭다.”는 그들의 절규에 늦었지만 귀를 기울여야 한다.

육철수 논설위원 ycs@seoul.co.kr
2007-08-28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