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현의 나이스샷] 엄마·아빠 나서지 마세요

[이종현의 나이스샷] 엄마·아빠 나서지 마세요

입력 2007-07-11 00:00
업데이트 2007-07-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얼마 전 한 일간지에서 국내 전용 캐디 1호 인터뷰를 실은 적이 있다. 지은희의 전용 캐디가 국내 1호라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국내 전문 캐디 1호는 이미 10년 전에 탄생했다. 국가대표 출신 이종임(현재 일본 거주) 프로가 같은 대학(이화여대) 후배 유미란씨와 6년간 국내 필드에서 호흡을 맞췄다.

1,2호를 따지자는 것이 아니다.‘세계 골프 3강’으로 불리는 국내에 아직까지 전용 캐디가 없다는 건 심사숙고해야 할 문제다.1990년대 초반 국내 대회 개인 상금이 1억원을 넘었을 때 최상호 프로에게 전용 캐디의 필요성을 묻자 그는 최소 2억원은 돼야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2007년 시즌 현재 국내 투어 상금 1위를 살펴보면 김경태가 2억 6000만원, 신지애가 2억 8000만원을 벌어들였다. 올시즌 절반 정도가 소화된 걸 감안하면 연말이면 3억∼5억원까지도 가능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사실 국내 프로들이 일본이나 미국으로 진출할 때 가장 먼저 찾는 것이 전용 캐디다. 프로골퍼와 전용캐디는 바늘과 실 같은 존재다.

‘전용 캐디제’가 늦어지는 이유는 두 가지다. 하나는 골프선수의 ‘대디(아버지)’와 ‘맘(어머니)’이 직접 백을 메고 있기 때문이다. 또 하나는 전용 캐디를 모시기엔 아직까지 상금 수익이 적다는 것이다. 더욱이 여력이 충분한 톱랭커의 경우에도 필요성을 느끼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이다.

A선수의 어머니는 직접 백을 멘다. 잘 칠 때는 별 문제가 없지만 못 칠 경우엔 갤러리 앞에서 욕을 하는가 하면 심할 땐 손찌검까지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비단 A선수의 어머니만이 아니다. 아버지들이 백을 멜 경우엔 더 심한 욕설과 폭력으로 선수의 경기력을 방해하는 경우도 있다.

이제 한국 부모들은 “내 자식은 내가 책임진다.”는 한국적 정서는 버려야 한다. 외국에서조차 ’코리안 대디’와 ‘맘’의 극성은 유명하다. 이제는 순수하게 갤러리로 돌아가야 한다.

지은희 선수의 경우뿐만이 아니라 제3, 제4의 전용캐디가 나와야 한다. 한국엔 자원도 풍부하다. 지은희 선수와 호흡을 맞추는 캐디는 국내 골프장 하우스캐디 출신이다. 풍부한 경험과 연륜은 분명 선수에게 좋은 결과를 내주는 동반자가 될 것이다.

레저신문 편집국장 huskylee1226@yahoo.co.kr

2007-07-11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