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종태 정치전문기자의 정가 In&Out] 대통령과 대선후보간 토론이라…

[한종태 정치전문기자의 정가 In&Out] 대통령과 대선후보간 토론이라…

입력 2007-06-06 00:00
업데이트 2007-06-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회창 후보는 운전을 할 줄 아십니까. 운전 면허증은 갖고 계십니까.”

2002년 대통령후보 사회분야 TV토론회에서 새천년민주당의 노무현 후보가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에게 던진 질문이다. 이 후보는 순간 우물쭈물 당황했고, 노 후보는 특유의 미소를 지었다. 엘리트 상류사회 생활을 쭉 해온 이 후보로선 아픈 대목일 수밖에 없었고, 노 후보는 상대방의 약점을 정확하게 파고 든 셈이다. 사회분야 토론회는 이 질문 하나로 노 후보의 우세승이 돼버렸다. 필자는 지금도 이 장면이 생생하다.

이미지 확대
노 대통령은 참 토론을 잘하고 좋아한다. 말이 너무 많은 게 흠이라면 흠이다. 역대 대통령 가운데 노 대통령과 토론 실력을 겨룰 인물은 김대중 전 대통령 정도다. 하지만 김 전 대통령도 토론보다는 해박한 지식이 돋보인다고 해야 할 듯싶다.

물론 ‘토론’이 아니라 ‘재치 대결’이 아니냐고 혹평하는 이들도 있다. 그럼에도 뚜렷한 자기 주관과 논리에다 순발력까지 갖춘 노 대통령의 토론 능력은 인정해줄 만하다. 실제로 노 대통령과의 토론 대결에서 이길 수 있는 인물은 거의 없을 것 같다.

급기야 청와대가 노 대통령과 대선주자간의 토론을 제의했다. 정확히 얘기하면 한나라당의 이명박·박근혜 두 유력주자다. 지난 2일 노 대통령이 ‘참여정부 평가포럼’ 특강에서 두 주자를 향해 격한 비난발언을 쏟아낸 것이 계기가 됐다.

대통령도 정치활동의 자유가 보장되는 정치인이라는 전제 하에 현직 대통령과 대통령이 되고자 하는 후보간에 국정운영 전략이나 정책을 놓고 토론할 수 있지 않으냐는 주장이다. 토론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참여정부를 ‘잃어버린 10년’에 포함시키는 두 주자의 공격에 대한 역공 성격이 진하게 배어 있음은 물론이다.

토론이 성사될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만약 현직 대통령과 대선 예비후보간의 토론이 이뤄진다면 우리 정치사에서 처음 있는 일이 된다. 단임제가 도입된 이후 현직 대통령과 여당 대선후보간에 갈등은 몇차례 있었지만 지금처럼 현직 대통령이 야당의 대선주자들과 날 선 갈등을 빚는 것 역시 매우 이례적이다. 그것도 중앙선관위 고발사태까지 이어지고 있으니 말이다.

단임제에서 현직 대통령과 대선주자들간의 공개 토론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주자가 여든 야든 관계없다. 현직 대통령과 다음 정권을 맡을 주자간에 괜한 갈등을 빚어봤자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 몫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노 대통령은 당적까지 버리지 않았는가.

이번 사안을 놓고 노 대통령이 범여권의 대선구도가 지리멸렬한 상태에서 직접 대선 한복판에 뛰어들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거나, 참여정부의 공과를 놓고 전면전을 펼치겠다는 선전포고를 한 것이라는 등의 해석들이 나온다.

한데, 필자는 여기서 주목하고 싶은 게 있다. 정치권의 비협조로 뜻을 꺾은 개헌에 대한 미련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다.

미국과 같이 대통령 중임제를 채택하는 나라에서는 현직 대통령과 야당 대선주자간의 공방전은 흔히 볼 수 있다. 혹여 노 대통령이 대통령 중임제에 방점을 찍고 개헌을 위한 무력시위를 한 것은 아닐까. 개헌안 발의를 포기하면서 개헌과 관련한 정치권의 약속을 지켜보겠다는 노 대통령의 발언이 새삼 떠오른다.

대선주자들은 현 정권의 평가에 인색하기 마련이다. 여당 후보도 그럴진대 야당 후보야 오죽 하겠는가. 노 대통령도 편안하게 생각하는 편이 낫지 않을까 싶다.

jthan@seoul.co.kr
2007-06-06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