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연골 손상땐 봉합술이 낫다

무릎연골 손상땐 봉합술이 낫다

심재억 기자
입력 2007-05-19 00:00
업데이트 2007-05-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들어 무릎 연골에 이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부쩍 늘고 있는 가운데, 무릎의 반월판 연골이 손상된 경우 절제술보다 봉합술이 퇴행성 차단에 유리하다는 임상연구 결과가 나왔다.

관절 전문 힘찬병원 관절센터 정광암 소장팀이 2002∼2003년 사이 이 병원에서 반월판 연골 손상으로 봉합술과 절제술을 받은 환자 각 80명씩 160명을 선별, 치료 후 4년 이상 경과를 관찰한 결과 봉합술 그룹이 절제술 그룹보다 퇴행성 소견이 훨씬 적게 나타났다.

무릎 연골 중 반월판 연골은 허벅지 뼈와 종아리 뼈 사이에서 체중 전달, 관절뼈와 연골 보호는 물론 관절의 윤활 기능 등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사람이 서 있을 때는 반월판 연골을 통해 체중의 50% 정도가 전달되기 때문에 이 연골이 없으면 뼈끼리 서로 부딪쳐 관절염이 오기 쉽다. 조사 결과, 절제술을 시행한 그룹의 경우 연골판을 50% 이상 잘라낸 환자들로,80명 중 약 60%인 48명에게서 통증, 부종과 X레이상 골극 생성, 연골하 경화 소견과 관절 간격 정도가 좁아지는 등의 퇴행성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연골판을 봉합한 그룹의 경우 80명 중 약 6%에 해당하는 5명의 환자에게서만 퇴행성 변화가 관찰됐다. 특히 40대 이상의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반월상 연골 손상 중 연골 뿌리 부분에 파열이 생기는 경우 퇴행성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른 것으로 조사됐다.

반월판 연골은 한번 손상되면 무릎 관절염 진행이 빨라지기 때문에 연골을 보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연골을 절제하는 것보다 가능한 한 연골을 봉합해 치료하는 것이 좋으며, 불가피한 경우 최소한의 절제에 그쳐야 한다는 것이 의료계의 일반적인 시각이나 최근에는 치료의 편의성 때문에 일부 의료기관에서 무분별하게 연골을 절제해 치료하는 경우가 늘어 문제로 지적돼 왔다.

정 소장은 “연골판을 절제할 경우 연골 기능이 잘라낸 부분만큼 떨어져 보통 사람보다 퇴행성 관절염이 올 확률이 2배 이상 높다.”며 “이런 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관절 기능을 살리기 위해 가능한 한 절제보다 봉합술을 적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2007-05-19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