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도날드 감자튀김 트랜스지방 ‘최대’

맥도날드 감자튀김 트랜스지방 ‘최대’

오상도 기자
입력 2007-05-15 00:00
업데이트 2007-05-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명 패스트푸드점에서 팔리는 감자튀김의 트랜스지방 함유량이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서울 지역 5개 패스트푸드 업체에서 파는 튀김류의 트랜스지방 함량을 조사한 결과, 감자튀김 100g당 평균 1.2g의 트랜스지방이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조사에서 검출된 2.0g보다 낮지만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한 성인의 하루 섭취 허용량(2.2g)을 여전히 위협하는 수준이다.

예를 들어 한 외국계 패스트푸드점에서 파는 ‘프렌치프라이’(라지사이즈·140g)를 먹을 경우,2.24g의 트랜스지방이 들어 있어 성인의 하루 섭취 허용량을 넘기게 된다. 어린이의 트랜스지방 하루 섭취 허용량은 1.8g 수준으로 감자튀김, 치킨 등을 함께 먹을 경우 하루 허용량을 훌쩍 뛰어넘는다.

업체별 감자튀김의 트랜스지방 함량(식품 100g 기준)은 맥도날드 1.6g, 버거킹 1.3g,KFC 1.3g, 파파이스 1.0g, 롯데리아 0.7g 순이다. 식약청은 이같은 조사를 올 상반기(4월16일∼5월1일) 서울 종로구, 강남구, 서초구, 양천구, 강서구 등 주요 지역 패스트푸드점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결과 치킨류의 트랜스지방 함량은 평균 0.3g으로 지난해와 같았다.

WHO는 하루 섭취 열량 중 트랜스지방 함량이 1%를 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 성인의 하루 평균 섭취열량(2000㎉)을 감안하면 트랜스지방 섭취는 하루 2.2g을 넘지 않아야 한다.

2004년부터 트랜스지방 저감화 사업을 벌여온 식약청은 올 12월부터 트랜스지방 함량을 의무적으로 제품에 표시하도록 할 방침이다. 하지만 빵과 초콜릿, 면류 등 일부 가공식품에만 해당된다.

식약청 영양평가팀 박혜경 팀장은 “일부 업체는 콩기름 등 식물성 유지를 포함한 자체 튀김기름을 개발해 트랜스지방 함량을 줄이는 데 성공했다.”면서 “패스트푸드는 표준화가 어려워 외식업체 자율에 맡기고 있지만 2010년쯤 패스트푸드의 트랜스지방 함량 표시도 의무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07-05-15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