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현진오의 野, 야생화다!] 매화마름

[현진오의 野, 야생화다!] 매화마름

입력 2007-05-05 00:00
업데이트 2007-05-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며칠 전 선재도에 다녀왔다. 이웃한 영흥도와 함께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속하는 작은 섬이다. 과거에는 섬이었지만 연륙이 된 지금은 육지나 다름없는 곳으로서 경기도 안산시 대부도에서 다리 하나만 건너면 닿을 수 있다.

이미지 확대
이 섬과 영흥도를 연결하는 영흥대교 공사가 한창이던 2000년에 이어 6년 만에 다시 찾아간 셈이었다. 그동안 선재도에는 새 건물이 많이 들어서서 예전의 고즈넉한 시골 풍광은 찾아볼 수가 없었다. 벼농사를 짓던 논이 흔적조차 없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대신 서 있는 건물들이 눈에 띄었다.

영흥도행 배를 타는 포구 부근에 있다가 사라져 버린 이 논들에는 몇 해 전까지만 해도 귀한 물풀이 살고 있었다. 야생동식물보호법에 의해 지정된 멸종위기야생식물2급 매화마름(<B>사진</B>)이 살고 있었던 것인데, 이제는 대부분 만날 수 없게 되고 말았다. 선재도의 논들이 집을 짓기 위해, 길을 넓히기 위해 메워지면서 아무도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매화마름의 생육지 자체가 파괴되어 절멸하고 만 것이다. 영흥대교, 선재대교 같은 교통 인프라의 구축이 인간생활을 편하게 해주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생물종을 절멸의 길로 몰아갈 수도 있다는 것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현장이다. 개발은 궁극적으로 생물다양성의 감소를 초래한다는 평범한 진리를 다시 한번 선재도에서 깨달을 수 있다.

매화마름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과거에는 서울 영등포에서도 발견된 적이 있다고 하지만,1998년 초에는 멸종위기 식물도감에 넣을 사진을 구할 수가 없을 정도였다.1998년 필자가 강화도에서 대규모 자생지를 발견해 일간지 사회면을 장식하기도 했다.

이후 환경부의 정밀조사를 통해, 강화도뿐만이 아니라 영종도, 선재도, 삽시도, 영흥도, 안면도 등의 서해안 섬에서 발견되었고, 근래에는 섬 외에도 서해안에 인접한 논들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 서해안에서만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아직 명확한 이유는 모르지만 생육지를 까다롭게 가리는 습성이 있다.

과거에 출간된 식물도감에는 여러해살이풀로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관찰이 안 되었던 식물인데, 초봄에 잠깐 피고 없어지는 생태적 습성도 관찰을 어렵게 한 원인이다.4월 하순에서 5월 초순 사이에 꽃을 피우고, 모내기를 하기 위해 논을 갈고 물을 대면서 사라진다. 이 짧은 기간 동안 매화마름은 꽃을 피우고 씨를 익혀 후손을 남긴다.

매화마름이 사라지는 가장 큰 이유는 선재도의 경우처럼 논 자체를 매립하는 것이다. 아무 논에서나 살지 않고, 겨울에도 물기가 남아 있는 논, 저수지나 유수지 주변의 논에서만 살기 때문에 자생지 숫자도 많지 않다. 마을 가까이에 사는 식물들이 더 쉽게 더 빠르게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매화마름은 잘 보여준다. 택지개발, 도로개발 등 인간 활동에 의해 자생지가 파괴됨으로써 산 깊은 곳에 자라는 식물에 비해 절멸될 위험이 큰 것이다. 세계적으로 볼 때 생물종을 멸종위기로 치닫게 하는 가장 큰 원인이 서식지와 자생지 파괴인데, 바로 여기에 해당하는 식물이 매화마름이다.

다음 주말에는 한국내셔널트러스의 매화마름위원회가 주관하는 매화마름 관찰행사가 강화도 초지진 자생지에서 열린다. 우리 곁에서 사라지려 하고 있는 가녀린 물풀 매화마름을 만나러 가는 주말은 의미가 클 것 같다.

동북아식물연구소장
2007-05-05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