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조승희 사건을 돌아보는 눈/김기수 캐나다 메모리얼대학 교육철학 교수

[시론] 조승희 사건을 돌아보는 눈/김기수 캐나다 메모리얼대학 교육철학 교수

입력 2007-04-27 00:00
업데이트 2007-04-2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승희의 끔찍한 사건이 준 충격도 다소 진정돼 가는 듯하다. 이제 그 사건을 바라보던 우리들 자신을 돌아보고 전화위복의 전기를 궁리할 때가 되지 않았을까.

이미지 확대
김기수 캐나다 메모리얼대학 교육철학 교수
김기수 캐나다 메모리얼대학 교육철학 교수
우선 그가 한국인이니 사과해야 한다거나 어려서 이민 간 사람이니 그는 한국인이 아니라 미국인이고, 그러니까 사과할 것까지는 없다고 한 일부터 돌아보자. 아무래도 속좁은 생각이었다고 하겠다. 미국인이 한국인과 결혼하여 낳은 미국의 운동선수를 보고 한국인의 긍지를 느끼던 우리가 아니었던가.

또 어떤 한국인이 잘못을 범하면 다른 한국인이 반드시 사과해야만 하는가. 그 어느 쪽이든 핵심은 보통의 우리는 그처럼 나쁜 짓을 저지르는 사람들이 아니라는 점이다. 나쁜 짓은 타고난 성품보다는 빗나간 사고 탓에 생긴다고 할 수 있다. 아무리 부정해도 나쁜 짓을 자행하는 한국인은 언제나 있게 마련이다. 그러니 조승희의 행위가 어째서 나빴는지, 또 그의 사고가 어찌해서 빗나갔는지를 곰곰이 따져보고 우리가 경계할 점이 무엇인지를 궁리해 봐야 할 것이다.

조승희의 행위가 나빴던 이유는 뭔가. 물론 많은 사람을 살상했다는 점이다. 그에게 쌓인 불만이 아무리 컸다고 하더라도 남의 목숨을 그렇게도 무참히 유린해서는 안 될 일이었다. 개인과 개인이 모여 살면서 피차 행복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나를 위해 남을 해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개인의 자유와 책임을 사회생활의 원리로 삼는 사회에서는 이것이 법과 도덕의 원칙이다. 조승희는 이 원칙을 어겼다.

문제는 조승희가 이 원칙을 몰랐던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그 원칙을 적용하는 사고법이 빗나간 것이다. 텔레비전 방송사에 보낸 비디오에서 자기는 그 ‘방법’을 취하기를 원치 않았지만 세상이 그것을 쓰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동안 세상이 자기에게 고통을 가해 왔으니, 다시 말해서 세상이 나를 해쳤으니 이제 내가 그 빚을 갚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결과에서 미루어 보건대 그 방법은 수십명의 인명을 빼앗고 그 대신 자기 목숨 하나를 덤으로 내놓는다는 것이었다.

조승희의 기막힌 삶과 죽음의 사연이 바로 여기에 있다. 사는 동안 그가 세상으로부터 겪은 고통은 수십명의 인명이 다치는 고통과 맞먹었다. 그의 공리주의적 계산법에서는 그랬다. 그러나 아무도 그를 이해하지 못했고 그에게 구원의 손길을 내밀지 않았다. 얼마나 외로운 삶이었을까. 그리고 죽은 그는 흉악한 대량살인자로서 기억될 것이다.

근본 원인은 그의 총알에 쓰러질 사람들이 저마다 역시 세상으로부터 당했을 고통을 그가 감안하지 않았다는 데 있다. 내 고통에 눈멀어 남의 고통을 보지 못한 것이다.

조승희의 그렇게 기막힌 삶과 죽음을 보고 우리가 경계할 일은 무엇인가. 서방질 한 번 하고 나서 두 번 한 자 탓하는 일, 학교 아이들에게 불량식품 먹이고 돈벌이하는 일, 국가와 민족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파렴치죄를 범했다가 사면복권이 되면 마치 죄가 없어지기나 한 것처럼 기세등등해 하는 일, 툭하면 백배천배로 보복하겠다는 일, 이것들은 모두 자기를 돌아보지 못하고 남이 당할 고통에 무신경한 예다. 그런 사고와 조승희의 사고는 뿌리를 함께한다. 그러나 위험하기로 따지면 더하다. 조승희는 적어도 제 목숨을 내놓지 않았던가. 그런 일들을 경계해야 한다.

김기수 캐나다 메모리얼대학 교육철학 교수
2007-04-27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